학년-학기 | 이수구분 | 교과목명(국문) | 학점 | 시수 | 비 고 | ||
---|---|---|---|---|---|---|---|
이론 | 실습 | 계 | |||||
1-1 | 전공필수 | 일반화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산야초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공중보건학 | 3 | 3 | 0 | . | ||
1-2 | 전공필수 | 생물학 | 3 | 3 | 0 | . | |
전공필수 | 인체생리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약용식물생태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의학용어 | 3 | 3 | 0 | . | ||
2-1 | 전공필수 | 약초원실습 | 3 | 2 | 2 | . | |
전공필수 | 한방용어 | 3 | 3 | 0 | . | ||
전공선택 | 생물과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생화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유기화학 | 3 | 3 | 0 | . | ||
2-2 | 전공필수 | 약용식물학 | 3 | 3 | 0 | . | |
전공필수 | 분석화학및실습 | 3 | 2 | 2 | . | ||
전공필수 | 독성학 | 3 | 3 | 0 | . | 부전공 필수과목 | |
전공선택 | 한약채집학 | 3 | 3 | 0 | . | ||
3-1 | 전공필수 | 한방화장품학 | 3 | 3 | 0 | . | |
전공필수 | 한약감정학및실습 | 3 | 3 | 0 | . | ||
전공필수 | 한방약리학및실습 | 3 | 3 | 0 | . | 부전공 필수과목 | |
전공필수 | 생약분석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기기분석학및실습 | 3 | 2 | 2 | . | ||
전공선택 | 유전학 | 3 | 3 | 0 | . | ||
3-2 | 전공선택 | 기능성화장품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한약재관리학및실습 | 3 | 3 | 0 | . | ||
전공선택 | 분자생물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생약학및실습 | 3 | 3 | 0 | . | 부전공 필수과목 | |
전공선택 | 한약재품질평가및실습 | 3 | 2 | 2 | . | ||
4-1 | 전공선택 | 한약자원유통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생약산업과실무 | 3 | 3 | 0 | . | ||
전공선택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 | 3 | 3 | 0 | . | ||
전공선택 | 천연물화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생약실험통계학 | 3 | 3 | 0 | . | ||
4-2 | 전공선택 | 한약저장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한약재무역학 | 3 | 3 | 0 | . | ||
전공선택 | 바이오소재분석학 | 3 | 3 | 0 | . |
학과(부)별 다전공 이수자를 위해 전공교과목 중 60학점(20과목) 이상 다전공 권장 교과 지정
생명체를 구성하는 분자의 구조, 세포의 구조 및 세포학적 또는 분자적 측면에서 생물형질의 유전현상 등을 공부함으로써 생명현상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물학 | Biology | 3 – 2 – 2 | 1-1 |
유기화학, 무기화학, 물리화학, 분석화학 등 전반적인 화학의 기초지식을 배움으로써 항노화 신소재의 발굴, 합성, 분석 등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일반화학 및 실습 | General Chemistry and Practice 1 | 3 – 2 – 2 | 1-1 |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자라는 풀과 나무의 전통적 사용에 대한 기록, 생육특징, 약용부위, 채취시기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유용한 자생식물을 이용한 신소재 개발 가능성을 탐구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산야초학 | Wild Medicinal Plants | 2 –2 – 0 | 1-1 |
유기화학, 무기화학, 물리화학, 분석화학 등 전반적인 화학의 기초지식을 배움으로써 항노화 신소재의 발굴, 합성, 분석 등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일반화학 및 실습2 | General Chemistry and Practice 2 | 3 –2 – 2 | 1-2 |
지역사회의 조직적인 노력과 올바른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학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공중보건학 | Public Health | 3 – 3 – 0 | 1-2 |
의학용어를 알아감으로써 과학적인 관점에서 한의약산업에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항노화신소재를 이용한 산업사업화 기초능력을 함양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의약용어 | Medical Terminology | 3 – 3 – 0 | 1-2 |
의약품원료로서의 한약재를 다루는 한약도매관리사의 전문직업을 이해하는 기초학문으로 약재관리 및 환경위생의 정의, 역사, 직업의 역할과 활동분야을 숙지하여 본인의 삶을 설계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품질관리 위생학 | Pharmaceutical management and hygiene | 3 – 3 – 0 | 1-2 |
지역사회의 조직적인 노력과 올바른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보건의료의 관계된 법규 이해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보건의료법규 | Public Health Law | 3 – 3 – 0 | 1-2 |
약용식물의 발아부터 전 생장과정을 교내 약초원에 식재된 식물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식물의 형태학적 특징 및 유사 식물과의 차이점을 익히고 이를 통해 약용식물의 재배 및 관리, 감별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약용식물생태학및실습 | Ecology of Medicinal plants | 3 – 2 – 2 | 2-1 |
약용식물의 발아부터 전 생장과정을 교내 약초원에 식재된 식물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식물의 형태학적 특징 및 유사 식물과의 차이점을 익히고 이를 통해 약용식물의 재배 및 관리, 감별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물과학 | Biology Ⅱ | 3 – 2 – 0 | 2-1 |
항노화 산업의 근간이 되는 약용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의 유전 현상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한 전통 육종 기술의 배경을 이해한다. 유전공학, 유전자 교정기술 등 새로운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분자생물학 교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유전학 | Genetics | 2 – 2 – 0 | 2-1 |
유기화합물의 구조 분석과 결합, 반응 등 화학물질 합성을 위한 기본 지식을 배움으로써 항노화 신소재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화학 | Bio Chemistry | 3 – 3 – 0 | 2-1 |
한방적인 사고에서 유래된 다양한 용어를 한의생리, 병리, 본초학 측면에서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의학용어로 연결시켜 한중일에서 생성된 한의학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문해력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방용어 | Terminology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2 – 2 – 0 | 2-1 |
국내·외에서 약용되고 있거나 혹은 가능성 있는 다양한 식물자원의 형태학적 특징과 식물 계통학적 분류, 약효, 주요 생리활성물질, 응용, 사용상의 주의점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기능성소재 발굴에 응용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약용식물학 | Medicinal Plants | 2 – 2 – 0 | 2-2 |
생리학에 관한 전반적 지식의 습득을 위해 일반생리, 순환, 호흡, 체액 및 신장, 산-염기, 소화, 내분비,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계, 뇌의 고등기능으로 구분하여 강의가 진행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인체생리학 및 실험 | Human Physiology and Experiment | 3 – 2 – 2 | 2-2 |
분자생물학적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최근 이를 응용하여 산업화가 이루어진 생명공학 산업의 근간이 되는 유전공학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한다. 나아가 최근 새롭게 부각 되고 있는 유전자교정기술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여 약용식물 등을 이용한 항노화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인재를 양성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분자생물학 | Molecular Biology | 3 – 3 – 0 | 2-2 |
물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화학연구의 기본인 분석화학의 기본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체화함으로써 항노화 신소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분석화학 및 실습 | Analytical Chemistry and Practice | 3 – 2 – 2 | 2-2 |
약용자원은 재배조건, 채취시기,채취후 가공과정에 따른 약리작용의 변화폭이 매우크다. 이에 따라 최적기의 약용자원을 채집하는 방법이 원료품질관리 차원에서 중요하므로 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이론화 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 채집학 | Medicinal Plant Collection | 3 – 2 – 2 | 2-2 |
약용식물의 조직배양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한 항노화 산업의 발전과정, 주요 토종 약용식물의 기내 보존, 약용식물 세포의 액체 배양을 통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대량생산 시스템, 식물조직배양을 통한 유전자변형, 유전자교정 등 신육종 기술의 적용 등에 관한 광범위한 기술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약용식물 조직배양학 | Medicinal Plant Tissue Culture | 3 – 3 – 0 | 3-1 |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한약의 기본 재료가 되는 식물자원에 대한 관능검사의 방법을 학습한다. 건조 전후의 한약재의 특징과 절편화된 한약의 외부형태, 성상, 질감, 해부학적 특징 등을 바탕으로 감별법을 학습한다. 상용되는 약재 또는 혼용하기 쉬운 약재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식별법을 학습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감정학 및 실습 | Identification of Oriental Medicine and Practices | 3 – 2 – 2 | 3-1 |
약물의 작용을 이해하고 약물의 생체작용기전, 흡수와 배설 응용에 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약물을 질병치료에 이용하는 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한약약물의 생체 내 작용, 흡수, 배설에 대해 습득하며, 약용자원의 과학적이며 산업적인 개발을 할 수 있는 식견을 가질 수 있도록 한약의 과학적 재해석을 기반으로 약용자원의 유용성 및 소재 발굴 능력 함양.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방약리학 및 실습 | Herbal Medicine Pharmacology and Practices | 3 – 2 – 2 | 3-1 |
식물체 내에서 생합성 되는 생약의 주요 이차대사산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생약성분의 화학적특성에 기반한 분석법의 개발과 적용 능력을 함양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약분석학 및 실습 | Analysis of Herbal Medicine and Practices | 3 – 2 – 2 | 3-1 |
분석화학에서 다루는 기기 전반과 그 기기를 이용한 분석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체화함으로써 항노화 신소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역량을 다진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기기분석학 및 실습 | Instrumental Analysis and Practices | 3 – 2 – 3 | 3-1 |
약용식물이 생약제제로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에서 최적 채취시기 및 방법, 정선, 수세, 건조 등 취급관리기술 및 유통 시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과 효율적인 약업사 운영을 위한 법적, 경제적, 윤리적 원칙과 적용방법을 습득하여 사업화 능력을 함양.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재관리학 및 실습 | Oriental Medicinal Materials Processing and Practice | 3 – 2 – 2 | 3-2 |
식물의 생리현상, 즉 광합성, 영양, 생장, 분화 및 기타 생물의 조절과 반응에 대하여 이해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식물생리학 및 실험 | Plant Physiology and Experiment | 3 – 2 – 2 | 3-2 |
생약의 주요 약리성분과 과학적 검증자료에 기반한 효능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하여 생약의 고유한 특성을 습득하고, 나아가 생약을 활용한 기능성소재(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개발을 위한 탐구능력을 함양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약학 및 실습 | Pharmacognosy and Practices | 3 – 2 – 2 | 3-2 |
화장품분야에 적용하는 것으로 기초 화장품, 향수, 피부ㆍ모발ㆍ몸 관리용품들의 제조 및 개발과정, 보관 및 유통 등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여 산업화 능력을 함양.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스킨헬스 및 실습 | Skin Health and Practices | 3 – 2 – 2 | 3-2 |
한약재의 고품질을 확보하고 품질관리를 위해 필요한 성상, 성분, 효능에 따른 품질평가법을 배우고 약전에 기재된 확인시험, 정량시험 등을 실습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재품질평가 및 실습 | Quality Assessm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Practices | 3 – 2 – 2 | 3-2 |
한약재의 유통 기구와 시장 구조를 이해하여 보다 합리적인 유통 방안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한약재를 이용해 개발된 제품의 유통관리, 판매전략 등을 학습하며 한약 유통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의 개선하며 유통과정에 필요한 법규 등에 관한 사항을 숙지하여 양질의 한약재를 유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산업화 능력을 함양.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자원 유통학 | Herbal medicinal resource distribution | 3 – 3 – 0 | 4-1 |
의약품 및 생약제제의 품질관리 및 적부판정을 위한 제반 지식을 학습하고, 시험방법의 선정, 기준 및 규격 설정, 적합판정 기준 설정 및 품질과학의 원리를 이해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의약품 품질관리학 | Pharmaceutical Quality Science | 3 – 3 – 0 | 4-1 |
화장품 관련 법령 및 제도 등에 관한 사항, 화장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와 원료의 사용기준 등에 관한 사항, 화장품의 유통 및 안전관리 등에 관한 사항, 맞춤형 화장품의 특성·내용 및 관리 등에 관항 상항을 이해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맞춤형 화장품 조제관리 | Personal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ment | 3 – 3 – 0 | 4-1 |
질병치료에 직접 활용되거나 치료약물 합성에 활용되는 천연물들의 기원, 구조, 분리, 응용 등에 대해 학습하고 항노화 신소재 발굴 및 신약 개발을 위한 천연약물의 탐색방법을 배운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천연물 화학 | Natural Product Chemistry | 2 – 2 – 0 | 4-1 |
한약재의 저장 관련 법규, 한약재의 변질 예방 및 보관, 저장관리에 관한 지식을 습득함여 산업의 사업화에 적용.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한약 저장학 | Herbal medicine resource storage | 3 – 3 – 0 | 4-2 |
질환별 주요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 원료의 개발을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생리기전, 바이오마커 및 기능성평가법에 대해 학습함.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형 및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의 특징과 기능성을 이해함.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식품과 건강관리학 | Functional Food and Health Care | 3 – 3 – 0 | 4-2 |
피부구조 및 피부노화 이론을 토대로 주름, 미백, 선제품, 여드름 등에 사용되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 및 안전성, 유효성 평가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기능성 화장품학 | Functional Cosmetics | 3 – 3 – 0 | 4-2 |
천연물 연구는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되고, 자료를 수집하여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결론으로 유도된다. 실험통계의 기초를 다루면서 분산분석 방법을 설명하고, 회귀 및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두 변량간의 관계 정도도 강의하여 연구 능력 제고를 지향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생약실험 통계학 | Experimental Statistics for Crude drug | 3 – 3 – 0 | 4-2 |
천연물 추출 성분 또는 천연물 유래 합성 소재의 화학적, 형태학적 구조, 성질 및 특성을 분석하는 다양한 분석법을 배우고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개설 (학년-학기) |
---|---|---|---|---|
신규교과목 | 바이오소재 분석학 | Biomaterial Analysis | 2 – 2 – 0 |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