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경상국립대학교 바로가기
Login
Portal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안내
인사말
비전 및 목표
연혁
사업단 연락처
일정
찾아오시는길
교육과정
마이크로디그리
항공드론 융합전공
기관소개
설립목적
기관실적
비교과 프로그램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FAQ
보도자료
ENG
KOR
통합검색 활성화
검색창
통합검색
검색
통합검색 닫기
전체메뉴 열기
보도자료
홈으로 이동
게시판
보도자료
공유 활성화
공유 활성화 닫기
전체
16
건
1
/2페이지
10건
20건
30건
40건
50건
제목+내용
제목
내용
작성자
검색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 결과보고회 개최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 결과보고회 개최▸‘더 나은 경남, 지지해’ 수행 결과 보고 및 공유…4개 과제 결과 발표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이하 사업단)은 1월 21일 가좌캠퍼스 항공우주산학협력관에서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더 나은 경남, 지지해) 결과보고회’를 진행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박재현 사업단장과 경상남도 우주항공산업과 승련이 사무관을 비롯해, 과제 책임교수 및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사업단의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더 나은 경남, 지지해)는 우리 지역의 각종 사회문제를 조사·분석하고 항공드론 및 관련기관의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과제이다. 2차 연도 프로젝트는 4개 과제로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 3개 과제는 경상남도 지원을 받아서 진행됐다.경상국립대 항공우주공학부 도재혁 교수는 ‘진주 남강 환경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 정찰 드론의 디지털 트윈 기반 비행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고, 항공우주공학부 이학진 교수는 ‘경남형 미래항공기체 및 프로펠러 고정밀도 전산해석’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항공우주공학부 방유진 교수는 ‘지역 내 항공드론 관련 산업체의 애로사항 발굴 및 해결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ANH SYSTEMS 김정현 과장은 ‘드론 스테이션을 통한 무인순찰 시스템 구축’(연구책임자 방유진 교수)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박재현 사업단장은 “이번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올해는 지자체와 기업의 수요 조사를 통해 더 다양한 분야로 프로젝트를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 CArDIo(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를 구축하여 5개 대학의 장점을 살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통해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ㅇ 사진 설명: 경상국립대학교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1월 21일 가좌캠퍼스 항공우주산학협력관에서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더 나은 경남, 지지해) 결과보고회’를 진행했다.ㅇ 내용 문의: 경상국립대학교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055-772-4652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65776
2025.01.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경상국립대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성과 인증받았다
경상국립대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성과 인증받았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024 COSS성과포럼 참석▸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 표창 수상▸각 사업단과의 네트워킹을 통한 연계 협력 강화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희)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교수)의 김채향 팀장이 ‘2024 COSS 성과포럼’에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번 ‘2024 COSS 성과포럼’은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렸으며, 18개 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컨소시엄 관계자가 참석했다. 각 사업단의 추진 성과를 공유하고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찾기 위해 개최되었다.포럼 첫날에는 개회식과 함께 교육부 장관 표창 수여식이 진행되었으며, 우수 서포터즈와 CO-DATA Station 우승 학생의 발표가 있었다. 또한, 교육부와 연구재단의 2025 COSS 사업의 중점 추진 방향과 운영 계획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간 행사 운영 결과 및 공동성과 창출 실적 공유가 이어졌다. 특히, 항공드론 컨소시엄 전남도립대의 천종훈 단장과 경상국립대의 김채향 팀장이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상을 받았다.17일에는 연구재단의 단계평가 보고서 작성 방법 안내 및 질의응답 후 항공드론 컨소시엄의 단계평가 대비 전략 논의 및 보고서 작성이 이어졌다. 이후 실무 교수진 및 담당자가 직접 소통하고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또한, ‘항공·드론 기술 활용 지역 현안 해결 및 나노디그리 운영’이 컨소시엄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천종훈 단장이 발표를 담당했으며, 관련 성과를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참가자들은 컨소시엄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마지막 날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사업비 지침 매뉴얼 교육, 실험실습 장비 도입 교육을 마지막으로 행사는 마무리되었다. 3일간의 일정을 통해 항공드론사업단은 각 사업단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향후 사업을 운영함에 필요한 성과 극대화 방안 및 피드백 등을 얻을 수 있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인재 양성 혁신융합개학 사업 중 하나로,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CArDIo-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을 구축하고 있다.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하고 있으며, COSS 서포터즈, WE-Meet 프로젝트 등 다양한 학생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ㅇ 사진 설명: ‘2024 COSS 성과포럼’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ㅇ 내용 문의: 경상국립대학교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송지원 055-772-4652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63068
2025.01.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 연도 성과공유회 개최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 연도 성과공유회 개최▸사업 추진실적 공유, 참여 우수학생 성과 발표, 질의응답▸네트워킹 통한 부서 간 연계 협력 강화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교수)은 11월 28~29일 부산 해운대 마리안느 호텔에서 ‘2024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 연도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이번 성과공유회는 2차 연도 사업 성과를 공유·점검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연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최했다. 성과공유회에는 사업단 전담 인력, 참여학과 조교, D-Fly 공모전 수상 학생, 각 위원회의 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성과발표회에서는 참여학과의 교수·조교, 사업단 우수 참여 학생들이 사업단의 추진 현황과 실적을 공유했다. 또한 3개 분야의 우수 참여 학생들이 발표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으며, 이어 컨소시엄 전남도립대 천종훈 단장이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도 열렸다.이번 성과발표회에서는 자체평가위원회, 산학협력위원회, 교육과정위원회도 열렸다. 지자체, 산업체, 대학에서 위촉된 전문가가 위원으로 참석하여 사업단의 교육과정 운영, 지자체 활용, 산학협력 성과 등 전반적인 사업단 운영에 대한 평가와 의견을 나눴다.또한, 참여학과의 조교와 사업단 실무진은 사업단 성과 자료를 공유하며 진솔한 의견을 교환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사업 성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논의했으며, 앞으로도 원활한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기로 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이틀간의 성과발표회, 자체평가위원회, 산학협력위원회, 교육과정위원회, 실무자 네트워킹을 통해 지자체, 산업체, 대학 인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으며, 앞으로도 이 같은 자리를 마련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우수한 사업성과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인재 양성 혁신융합개학 사업 가운데 하나로,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CArDIo-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을 구축하고 있다.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지역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60646
2024.12.09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경상국립대 LINC 3.0 사업단-항공드론사업단, 특성화 우수기업 탐방
경상국립대, 지역정주 인재양성 체계 구축에 앞장선다▸경상국립대 LINC 3.0 사업단-항공드론사업단, 특성화 우수기업 탐방▸‘2024 탄소중립 ICC 비전 트립 및 진로이음 프로그램 필드 캠프’▸조선해양 및 우주항공 관련 기업에서 ‘학생 역량·취업경쟁력 강화’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이하 LINC 3.0 사업단)과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하 항공드론사업단)은 11월 20일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등 지역 특성화 우수기업을 탐방·체험하는 ‘2024 탄소중립 기업협업센터 비전 트립(ICC VISION TRIP)’(2회차)과 ‘진로이음(NEXT-Trip) 프로그램 필드(FIELD) 캠프’를 개최했다.‘탄소중립 ICC VISION TRIP’은 국내외 경쟁력을 확보한 중소·중견·대기업 탐방을 통해 취업 또는 창업을 계획하는 학생들의 역량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다. 2024년 9월 환경생명·바이오 분야를 주제로 개최한 1회차에 이어 마련한 ‘탄소중립 ICC VISION TRIP 2회차/[진로이음(NEXT-Trip)프로그램] 필드(FIELD) 캠프’는 경상국립대 링크(LINC) 3.0 사업단과 항공드론사업단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양 사업단 교수·학부생 43명이 참여했다.이번 프로그램에서는 광양시 포스코(POSCO) 광양제철소,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주)과 긴밀하게 협업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지원한 학생들에게 귀중한 기업 탐방의 기회와 양질의 기업 정보 및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한국의 산업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두 기업의 탐방을 통해 한국 조선해양 및 우주항공 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탄소중립, 친환경 분야의 추진 현황을 들음으로써 미래산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하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한승훈 경상국립대 LINC 3.0 사업단 탄소중립 ICC 부센터장(기계시스템공학과 교수)은 “탄소중립 ICC 비전 트립은 최신 산업 동향과 트렌드를 반영하여 대학의 특성화 분야별로 진행하고 있다. 1회차에 이어 매달 개최할 만큼 학부생들의 관심과 인기가 뜨겁다.”라고 말하고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대학교와 협업 중인 탄소중립 실천 조선해양 및 우주항공 기업들을 학부생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라고 말했다.경상국립대 항공드론사업단 김종혁 산학협력중점교수는 “이번 프로그램에서 경남지역 및 인근 지역의 우수기업을 탐방하여 현장에서 직접 보고 배우면서, 항공우주 분야의 실제 산업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앞으로도 인재 양성 체계를 탄탄하게 구축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한편, 경상국립대 LINC 3.0 사업단은 향후에도 학부생들에게 기업 탐방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지역정주 인재양성 체계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60568
2024.12.09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경진고등학교 업무협약 체결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경진고등학교 업무협약 체결▸첨단분야(항공·드론) 활성화 및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교수)과 진주 경진고등학교(교장 황일환)는 11월 1일 가좌캠퍼스에서 ‘첨단분야(항공·드론) 활성화 및 상호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양 기관은 업무협약서에서 ⯅첨단분야(항공·드론) 교육 콘텐츠 활용 운영 및 확산 ⯅교육 프로그램 연계 운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협업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박재현 단장은 “우리 사업단이 개발한 다양한 첨단 분야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특성화 고교인 경진고등학교의 항공드론 분야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라고 말했다.경진고등학교 황일환 교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드론 기술 및 운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유능한 인재에게 심화 교육과정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교육콘텐츠 공동 활용을 통해 상호 협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 첨단분야(항공·드론) 인재 양성에 이바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한편,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CArDIo(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 5개 대학의 장점을 살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기업 참여 프로젝트(We-MEET) 등을 통해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경진고등학교는 2024년 도심항공모빌리티과 재구조화를 이룬 뒤 경남 직업교육 혁신 지구 사업 및 진주시 교육발전특구 사업에 참여하여 진주·사천 지역 기반 사업인 항공·드론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57642
2024.12.09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경상국립대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경상남도경찰청 업무협약 체결
경상국립대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경상남도경찰청 업무협약 체결▸산학연협력 활성화 및 긴밀한 상호 협력체계 구축▸“지역사회의 상생 발전 및 첨단분야 인재 양성에 이바지”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교수)과 경상남도경찰청(청장 김성희)은 10월 22일 경상국립대 가좌캠퍼스에서 ‘산학연협력 활성화 및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양 기관은 업무협약서에서 ⯅지역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더 나은 경남, 지지해) 운영을 위한 상호 협력 ⯅교육 협업 ⯅연구과제 공동 추진 및 인력교류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박재현 단장은 “현재 진행 중인 항공드론 분야 인재양성 및 나노디그리를 통한 교육 지원뿐만 아니라, 경찰 업무에서 요구되는 드론 기술에 대한 협력을 포함해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라고 말했다.경상남도경찰청 심한철 공공안전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드론 기술 및 운영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 및 대학-지자체의 상호협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양 기관은 향후 지속적인 교류와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사회의 상생 발전 및 첨단분야 인재 양성에 이바지할 계획이다.한편,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각 대학의 장점을 살린 표준 교육과정 개발·운영, 기업 참여 프로젝트(We-MEET) 등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할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56262
2024.12.09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년도 실무워크숍 개최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년도 실무워크숍 개최▸각 대학 및 기관 간 협력 강화와 신규 직원들의 역량 강화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단장 박재현)은 8월 5-7일 서울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타임스퀘어에서 ‘2024년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차년도 실무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에는 주관대학인 경상국립대를 비롯해 참여대학인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 및 사업 지원 인력 40여 명이 참석했다. 워크숍에서는 2차년도 사업 계획의 구체화 및 실행 방안을 논의하고, 각 대학 및 기관 간 협력 강화와 신규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프로그램은 ▲사업단 업무 공유 플랫폼 시연 ▲비즈니스 매너 및 이미지 메이킹 교육 ▲커뮤니케이션 교육 ▲한국연구재단의 사업비 집행 교육 ▲성과 관리 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 방안 논의 순으로 진행됐다.이어 진행된 실무회의에서는 참석자들이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의 1차년도 성과점검 및 2차년도 계획을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했으며, 협력체제 구축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또한, 업무 공유 플랫폼을 통한 사업 실적 관리와 실무진들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이러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등 사업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하기로 했다. 또한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실무진 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지속적인 협력과 혁신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한편,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은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5개 대학의 장점을 살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기업 참여 프로젝트(We-MEET) 등을 통해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47387
2024.08.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호남대 AI융합대학 MOU 체결
경상국립대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호남대 AI융합대학 MOU 체결▸항공·드론 첨단분야 교육콘텐츠 활용 운영 및 확산 등에 서로 협력경상국립대학교(GNU)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은 6월 21일 호남대학교 AI융합대학(학장 백란)과 교육 콘텐츠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서면 으로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교육콘텐츠를 공유하고 항공·드론 혁신융합 분야에 모듈형 교육과정 및 공동 교과목 개발을 논의할 계획이다. 첨단산업 분야에 요구하는 융합 인재양성 체계를 갖추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양 기관은 업무협약을 통해 ▲항공·드론 첨단분야 교육콘텐츠 활용 운영 및 확산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공동활용대학 간 학생 및 수업 교류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운영을 위한 업무협력 등을 약속했다.박재현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으로 단순한 콘텐츠의 공유가 아니라 플랫폼의 공유를 통해 항공·드론 혁신융합 교육 강화와 첨단 교육과정을 확대 운영하여 항공·드론 분야 핵심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41896
2024.08.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놀러와요, 항공·드론’ 부스 운영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놀러와요, 항공·드론’ 부스 운영▸USG 메타버스 체험관 홍보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항공·드론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 활동 및 럭키 드로우 진행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순기)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CArDIo, 단장 박재현 우주항공대학 학장, 이하 사업단)은 5월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상국립대 가좌캠퍼스 예절교육관에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놀러와요, 항공·드론’ 부스를 운영했다. 이번 행사는 지역민들에게 사업단을 알리고 항공·드론 분야의 흥미 유발과 진로 탐색 지원을 위해 사업단과 USG 공유대학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날 부스에는 지역주민 200여 명이 참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부스에서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드론 조종, 종이 항공기 제작 및 채색 체험을 통해 드론의 기본 원리와 조종법을 배우고 항공·드론 산업에 대한 흥미를 높였으며, 럭키 드로우를 통해 다양한 경품도 뽑았다.사업단은 “이번 행사로 항공·드론 분야에 대한 지역민들의 이해 및 진로 설정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항공·드론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5개 대학(주관대학 경상국립대, 참여대학 서울대, 건국대, 전북대, 전남도립대)이 경상남도와 함께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CArDIo(College of Aero-Drone Innovation and Convergence) 5개 대학의 장점을 살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통해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37652>
2024.08.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2024년 한국-미국 무탄소 전기추진 항공 국제협력 워크숍’ 개최
‘2024년 한국-미국 무탄소 전기추진 항공 국제협력 워크숍’ 개최▸경상국립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워싱턴대학 보셀, 테네시공과대학 참여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 개발을 위한 4개 기관 상호협력 협약도 체결▸3월 20일(수) 오후 1시 항공우주산학협력관(407동) 1층 대강의실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순기)는 3월 20일 오후 1시 가좌캠퍼스 항공우주산학협력관(407동) 1층 대강의실에서 ‘2024년 한국-미국 무탄소 전기추진 항공 국제협력 워크숍(Korea-US 2024 Workshop on Carbon-free Aviation Using Electrified Propulsion)’을 개최한다. 국제협력 워크숍은 경상국립대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가 주관하고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과 진주강소연구개발특구센터가 후원한다.이번 한국-미국 간 국제협력 워크숍에는 경상국립대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하여 미국의 워싱턴대학교 보셀(University of Washington Bothell), 테네시공과대학교(Tennessee Tech University)가 참여한다.특히 2023년 3월 발표한 미항공우주국(NASA)의 대형 장기간 사업인 ‘무탄소 전기 항공 프로젝트(CLEAN: CarbonLess Electric AviatioN)’ (800만 달러, 한화 100억 원)의 주관기관인 테네시공과대학교의 로리 로버츠(Rory Roberts) 교수, 브루스 조(Bruce Jo) 교수가 직접 참석하여 무탄소 전기추진 항공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테네시공과대학교의 로리 로버츠 교수, 명노신 경상국립대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의 주제발표 후, 긴밀한 상호 협력을 위한 4개 기관의 기밀유지 협약(NDA) 체결식도 진행된다. 이후에는 테네시공과대학교의 브루스 조 교수, 워싱턴대학교 보셀의 존 김(John Kim) 교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김명효 상무 순서로 발표가 진행된다. 주제발표 순서와 주제는 다음과 같다. ▲로리 로버츠 테네시공과대학교 교수 ‘지속 가능한 항공으로의 전환’▲명노신 경상국립대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 ‘수소연료전지 커뮤터기 개발의 이슈: 개조 vs 신규’▲브루스 조 테네시공과대학교 교수, 존 김 워싱턴대학교 보셀 교수 ‘무탄소 상업용 항공기 개발을 향하여: 공기역학적 성능 및 구조해석 측면’▲김명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eSTOL 항공기용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분산전기추진시스템 설계’현재 경상국립대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지원하는 ‘첨단 모빌리티’ 분야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시범사업(3년간 총 85억 5700만 원)을 2023년 4월부터 수행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항공수소 분야 차별화된 핵심역량을 갖춘 경남울산 지역 간의 초광역 협력을 통해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기반 하이브리드 분산 전기추진 시스템을 활용한 커뮤터기(19인승 급 근거리도시 간 왕복여객기)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워크숍을 총괄하여 준비한 경상국립대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 명노신 우주항공대학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이번 한국, 미국 국제협력 워크숍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고 시급성이 높은 친환경 항공기 개발 주제에 대한 국내외 최신 기술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향후 긴밀한 상호 협력관계로 나아가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출처: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70&bbsId=1021&nttSn=2228690
2024.08.23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첫 페이지
1
2
다음 페이지
끝 페이지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