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교과목에서는 게임 제작에 대한 기초이론을 살펴보고, GUI 개발 툴(Unity, UnRealEngine)을 이용하여 2D 또는 3D 게임 제작 실습을 수행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핵신기술인 가상증강현실에 대해 알아보고, 개발 툴을 이용하여 가상증강현실 프로그래밍 실습을 수행한다.
자연어처리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 및 언어 정보 처리를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살펴보며 팀 프로젝트를 통해 질의-응답, 번역, 요약 등 언어 이해를 위한 딥러닝 모델을 설계 및 구현한다.
대용량 데이터에서 숨겨진 관계와 패턴을 찾는 지식 발견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며 링크 분석, 연관분석, 내용 및 협업 기반 추천 기법,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심화 마이닝 이론을 학습 및 실습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응용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C언어의 기본명령, 배열, 포인터, 함수 등을 익혀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테스트하고, UNIX의 기본 기능에 해당하는 Module을 작성하고 실습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인터넷 프로그래밍의 주요 언어인 HTML5, 자바스크립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학습하고 실습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에서의 처리 방법과 정보를 검색하고 응용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HTML5과 Client 스크립트, CGI 프로그래밍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 등으로 폭넓은 인터넷 홈페이지 정보생성에 대한 지식도 학습하게 된다.
컴퓨터과학 학문에서 기본으로 활용되는 확률과 통계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며 조합, 확률변수, 확률분포, 신뢰구간, 선형회귀 등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방법, 스윙 컴포넌트(Swing Components) 등에 대해 강의하고, 다양한 자바 프로그래밍 실습을 병행한다.
웹 구축에 필요한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원리를 소개한다. 이를 위해 CGI(Common Gateway Interface)의 개념을 소개하고, 서버 코딩, 서버상에서 DB 활용, API 제작 등에 관한 원리를 학습한다. 웹 구축에 필요한 서버측 프로그래밍 언어(JSP, 서블릿)를 중심으로 강의하고 실무적 과제에 대한 실습을 병행한다.
C++ 언어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본 강좌는 객체 지향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C++의 구문 및 특성에 대해 강의한다. 그리고 다양한 실습 예제를 통해 프로그래밍 실습을 병행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빅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간결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python)을 학습한다.
현재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특성들을 분석하여 개념 및 장단점을 이해하고, 유용한 프로그래밍 구사 능력과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능력,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능력,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능력 등을 증대시키며,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 및 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을 학습한다.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기본 개념과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C 또는 JAVA 언어를 이용한 실습 및 과제를 활용한다. 강의, 실습 및 과제를 통하여 Stack, Queue, Linked List, Recursion, Tree, Graph, Searching, Sorting 등의 기본적인 자료구조의 이해, 설계 및 분석 방법을 숙지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알고리즘 및 코딩 시험에 많이 활용되는 C++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그리고 다양한 실습 예제를 통해 프로그래밍 실습을 병행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자료 교환 문서 형식의 기본이 되는 형식 구조 언어에 대해 전반적 개념을 이해하고, 가장 중심이 되는 XML 데이터 문서 형식 언어를 중심으로 CSS와 XSL, DTD 작성 실습을 병행하여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데이터 분석 방법인 데이터마이닝/기계학습 방법론 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수학 지식으로서, 연립 선형 방정식, 행렬 등에 대해 학습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정보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본이 되는 기술과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기술과 원리를 적용한 새로운 기술들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시스템의 분산 및 자원고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이론의 기본습득 및 OSI7계층 참조모델을 근간으로 한 계층별 이론 습득,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본 원리를 소개한다. 이를 위해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개인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설계 실습을 수행하고, 데이터 및 경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습득한다.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cpu, meory, IO etc.), 동작 원리, 내부 데이터 표현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고성능 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 기술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GUI 기반 프로그래밍 개발 툴(Unity, UnRealEngine 등)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개발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2D, 3D 프로그램 개발 실습을 수행한다.
검색, 지식 표현 및 추론, 의사 결정, 학습 등 전반적인 기초 인공지능 기술을 다루며 경험적 탐색, 베이지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브 네트워크, 기본 머신러닝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최신 IoT 기술에 대한 이론 및 개요를 제공하고 아두이노 보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실습을 수행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분야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서버로 많이 사용되는 유닉스 체계에 대해 학습하고 운영 실습을 통해 실전 능력을 배양한다.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며 프로젝트를 통해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대한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과정을 다루고 실습한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업의 실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기초 데이터베이스 관리 역량을 함양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입력, 수정, 삭제, 조회할 수 있는 SQL을 실제 기업 데이터 처리에 활용하는 훈련과 함께, SQL에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결합한 SQL의 확장 언어인 PL/SQL 등을 학습한다.
컴퓨터 사용의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의 목적과 기능을 이해하고, 운영체제의 관리자인 프로세서, 기억장치, 주변장치,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기법을 논하며, 시스템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대량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 기법을 살펴보며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Numpy, Pandas, Scikit-learn등의 라이브러리 학습을 통해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는 제시된 문제의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한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하여 문제 확인,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문제 해결안 발표, 학습 결과 정리 및 평가 등의 학습 과정을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으로 수행하여 프로그래밍 문제 해결을 학습 목표로 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정보검색의 기본원리와 각 모델들의 특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를 위한 실습과제로는 웹 문서를 인식하는 과정 중의 하나인 불용어 처리를 활용한 문서 인식기 코딩 과제물과 하나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면 일부 인터넷포털사이트부터 검색 키워드에 해당하는 결과물을 수집한 후 통합할 수 있는 통합검색기 코딩 등이 주어진다. 이를 통해 정보수집의 절차, 내용을 분석, 순위매김 및 검색결과 제시 등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탐색하여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 등을 학습한다.
고급언어를 중간 언어로 변역하는 전단부(Front-end)의 어휘분석 및 구문분석, 의미분석, 에러복구 등과 흐름분석과 최적화, 코드생성 등의 구성 이론 및 설계, 구현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지도학습, 비지도학습과 같은 기본적인 머신러닝 개념과 딥러닝 기초 이론을 살펴보며 회귀, 분류, 클러스터링, 신경망, 딥러닝(CNN,RNN), 앙상블 기법 등을 학습한다.
이 과정은 지금까지 학습한 전공 이론 및 실무 능력을 기초로 하여 창의적이고 응용적 아이디어를 찾아내어 졸업 요건으로 필요한 IT 중심의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이며, 소규모 단위의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또한, 소프트웨어공학적 프로세스 처리 과정을 이용한 팀 프로젝트의 실무 응용 및 창의 능력을 향상 시키고, 졸업 작품과 연계되어 진학 및 취업의 기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에 대한 핵심개념을 살펴보며 반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처리 전략, 동시성 제어, 맵리듀스 기술이 적용된 빅데이터 스토리지(NoSQL)에 대해 학습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컴퓨터 기술과 통신 네트워크 간의 밀접한 결합에 의하여 부합한 것으로서 네트워크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 그 기초를 소개하며 여러 가지 방법 또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고 해석한다. 또 네트워크 설계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면에 대해서도 설명하며 그 중에서 전송 회선 또는 네트워크 노드 등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경로 선택, 흐름제어 등 네트워크 해석에 대해서 다룬다.
본 교과목에서는 그래픽 입출력장치 등 소프트웨어요소, 시스템 구성의 기초적인 이론과 컴퓨터 그래픽스의 이차원 및 삼차원 이론들이 다루어지며, 그래픽 라이브러리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작성도 병행해서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