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발전계획 추진체계 및 절차
(1) 발전계획과 추진 내용
발전계획 추진 내용 | 인재상 | 주요 전공능력 | |
1 | 교과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 핵심 역량 강화 | 인성, 전문성 창의성 | 교직 소양 및 윤리, 소통과 협력, 유아발달 이해, 유아교육과정 이해 및 운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
2 | 교과 통합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 핵심 역량 강화 | 인성, 전문성 창의성 | 교직 소양 및 윤리, 책임감과 리더십, 유아교육과정 이해 및 운영, 교수매체 활용능력, 디지털 역량, 창의·융합적 사고력 |
3 | 다학문적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 핵심 역량 강화 | 인성, 전문성 창의성 | 교직 소양 및 윤리, 공감능력, 봉사정신, 교수매체 활용 능력, 지속가능발전 및 생태전환교육, 창의·융합적 사고력, 융복합 사고력 |
(2) 세부 추진 과제 및 추진 방향
유아교육과의 발전계획 추진 사항에 맞춰, 교직 인성과 전문성 강화를 목표로,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유아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병행함. 교육 및 지역사회 연계 활동으로 교직 인성 및 전문성 강화, 실질적 교직 역량 향상 추진
과제
추진과제명
1
교직 인성 강화 프로그램
2
교직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3
교직 창의성 강화 프로그램
과제 1. 교직 인성 강화 프로그램
1) 교과 연계 동아리 활동
2)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3) 교수-학생 상담 프로그램
4) 유아교육과 자치 활동
과제 2. 교직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1) 선배와의 멘토링 프로그램
2) 교수-학습 역량 강화 프로그램
3) 현장 교사 멘토링 프로그램
4) 교과 연계 모의수업 경연대회
5) 교과 연계 프로젝트
6) 교수-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7) 학습-연구 지원 체계 구축
과제 3. 교직 창의성 강화 프로그램
1) 창의적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2) 지역사회의 유아교육 관련 기관 방문
3)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