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과에서는 중등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예비교사들의 전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영역을 실용일본어, 일본어학, 일본문학, 일본어 교수법, 일본문화 영역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분야의 일본어 지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및 직무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장면에서 요구되는 일본어 능력을 습득하는 영역이다.
(전공일본어1·2, 일본어독해1·2, 일본어청해, 초·중·상급일본어회화, 초·중·상급일본어작문 등)
일본어의 음성 및 음운, 어휘, 문법 등 일본어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영역이다. 일반언어학의 관점에서 일본어의 다양한 언어 현상을 객관적으로 통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효과적인 일본어 학습 및 교육현장에 필수적인 전문적인 언어학적 지식을 배워나간다.
(현대일본어문법, 일본어학개론, 일본어학특강, 일본어음성학)
일문학 영역은 일본문학사의 흐름과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일본문학사 이해는 일본의 정신사적 산물이자 축적물로 통섭적 방법이 요구되는 학문 영역이다. 각 강좌에서는 상대에서 근현대에 이르는 형성 과정과 장르의 발생 과정을 대표 작가 및 대표 작품을 통하여 고찰해나간다. 문학 텍스트 이해는 각 시대별 역사, 사회, 문화적 콘텍스트성이 요구되며 언어적 특징도 필요로 한다. 또한 문학적 상상력을 환기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필수적이다. 이러한 역량들은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환류될 것이다.
(일본근현대소설, 일본문학개론, 일본의 명시)
일본어 교육학에서는 언어습득이론을 바탕으로 일본어 교과 전반의 지도법, 각 언어 영역에 대한 교수 방법 등 학습자의 일본어 습득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들을 다룬다. 또한 일본어 교재 분석, 학습 자료 개발, 학습자 언어 능력의 평가와 실제 등 실제 일본어 교과 수업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어교과교육론, 일본어교재연구및지도법, 일본어교재분석및작성, 일본어교육논리및논술, ICT활용일본어평가법)
일본이라는 지역과 일본인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을 통하여 전근대와 근현대의 일본 사회와 일본인이 형성해온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특히 역사적인 관점을 항상 염두에 두면서 현대 일본 사회의 다양한 쟁점을 이해하고 전근대 일본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그리고 미디어를 통해 드러나는 일본문화의 여러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교육자료로서 활용법을 익혀나간다. 이를 통해 일본어 중등교사로서 방대한 일본문화 중에서 어떤 지점을 선정하고 배열하여 어떠한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나가는 영역이다.
(현대 일본 사회의 이해, 일본 문화의 역사, 디지털미디어와 일본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