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플랑크톤 분류, 생리생태학적 특성 연구 (Taxonomy and Eco-physiology of microalgae)
최근 나고야의정서가 발표됨에 따라 생물에 대한 권리가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각 나라들은 이용가치가 높은 생물종을 발굴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어 아직도 발굴되지 않은 많은 생물종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종들을 발견하여 세계 학계에 보고하고 이들 고유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녹조에 의한 연안 미소생물군집 영향 연구 (Interactions between Microcystis and marine protists in estuary)
우리나라의 강에서는 거의 매해 여름철마다 녹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녹조는 결국 바다로 유입되게 됩니다. 이렇게 대량으로 증식한 녹조생물의 유입이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미소생물군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반응연구 (Response of marine ecosystem to climate change)
현재 해양생태계를 크게 위협하는 온난화, 부영양화, 산성화 등과 같은 해양환경변화에 의해 해양생태계가 어떻게 영향을 받고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합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 해수의 수온도 증가됩니다. 이렇게 되면 표층수와 저층수의 밀도차에 의해 해수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식물플랑크톤들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의 유입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1차 생산량의 감소와 더불어 상위 포식자들에도 영향을 주어 장기적으로 전체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해양산성화는 석회질 껍질을 가지는 패류 뿐 아니라 플랑크톤들에도 영향을 주어 해양 내 물질순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변화가 발생했을 때 미소생물군집을 중심으로 한 해양생태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연구합니다.
■ 미세조류의 생체리듬 및 육상식물로의 진화연구 (Circadian rhythm in microalgae and its evolution)
미세조류 중 스트렙토식물아문(Streptophyte)은 현재 육상식물의 조상으로 여겨져 식물 진화에 중요한 열쇠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와편모류(dinoflagellate)는 2차 또는 3차 내부공생을 통해 삼중막 또는 사중막 형태의 엽록체를 가지고 있으며 특이한 생체리듬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생체리듬 조절기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습니다. 따라서 주요 미세조류 그룹에서의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생 미세조류에서 육상식물로의 생체시계 진화과정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 미세조류 생물자원의 활용연구 (Application of microalgal bioactive compounds)
미세조류가 갖는 독특한 생리활성물질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산업적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