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교과목소개

홈으로 이동 교육과정교과목소개

재배학원론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농작물의 재배, 품종육종, 토양 및 환경요소 전반에 관하여 학습하며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을 위한 관련 요인 전반에 관하여 학습한다.


일반화학

General Chemistry

유기화학, 무기화학, 물리화학, 분석화학 등 전반적인 화학의 기초지식을 배움으로써 항노화 신소재의 발굴, 합성, 분석 등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다진다.


생물자원학개론

Principles of Biological Resources

세포의 화학적 구성물질 및 그 구조와 기능, 유전암호의 작용, 에너지와 물질대사를 설명하고 유전자원으로의 가치과 이용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내용으로 (1)핵산의 생합성, (2)단백질 합성과 효소의 작용, (3)해당작용과 시트르산회로, (4)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 (5)지질대사, (6)광합성, (7)질소대사 등을 강의한다.


스마트농산업학개론

Introduction to Smart Agricultural Industry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핵심적인 스마트농산업의 개념과 다양한 농업생산시스템, 디지털 농업 기술, 시장과 정책 등 기본적인 구성원을 모두 학습하고, 스마트농산업의 기회 및 문제점을 토론한다.


작물학개론

Introduction to Crop Science

식물 중에서 재배를 통하여 유용한 가치를 지닌 작물 전반에 관하여 분류하고 이들 분류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재배법과 관리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토양환경학및실습

Soil Environmental Science and Practices

식물(작물)의 생산에 근간이 되는 생산환경(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친환경 농산물생산을 위한 기초 학습 및 실험 실습을 진행한다.


스마트벼과학및실습I

Smart Rice Science and Practices I

기존의 벼 재배방식에서 탈피하여 현대화된 기계와 기술을 동원하여 노동력을 최소로 하는 벼재배법과 관리법을 학습한다.


작물생리학

Crop Physiology

작물 재배에 필요한 식물 기능을 이해하고자 물, 무기영양, 광합성, 발아, 휴면, 물질대사, 생장 호르몬, 개화, 결실 등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기능유전체학

Crop Functional Genomics

작물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식물의 세포생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유전체학을 통한 식물의 유전체 정보를 기본으로 식물의 표현형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관련뿐만 아니라 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스마트작물보호학

Smart Crop Protection Science

기본적인 수량 증대를 위해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및 농생태계의 환경에서 기초적인 작물보호와 관련된 지식습득을 기반으로 농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센서를 이용한 센싱 및 데이터 축적을 통한 빅테이터의 활용으로 노지에서의 작물보호뿐만 아니라 시설설비, 식물공장, 및 스마트팩토리의 인공환경에서 작물의 생리 및 생장을 이해한다.


작물생산및이용

Crops Production and End-use

기존의 밭작물이란 개념을 탈피하여 좀 더 복잡한 재배 형태로 변화하는 맥류(보리, , 호밀 등), 두류 (, 녹두, 팥 등), 잡곡류 (옥수수, 수수, 기장 등)의 재배현황과 재배법의 학습 및 최신 재배법을 관행재배법과 비교하고 기후변화 대응 안정적인 생산성을 확보 및 이용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신육종기술및응용

New Breeding Technologies of Crops and Its Application

품종육성을 위한 전통 육종의 한계를 넘어서는 정교하고 효율이 향상된 새로운 식물 육종기술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한 학습과 기후변화 대응 식물 유전체의 이해를 바탕으로 신육종 기술을 이용한 신품종의 양적 그리고 질적 향상을 통한 종사산업에 광범위한 응용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농산물스마트가공학

Smart Processing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체계적인 농산물 가공식품 개발과 생산을 활성화하고 식품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마트가공 이론 및 기술,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스마트양분관리실무

Smart Plant Nutrition Management and Practices

토양 중 식물영양소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며, 영양소의 종류 및 역할, 토양 중 영양소의 화학적 거동 등에 대한 학습을 생산환경(토양)과 연계하여 학습한다.


농산업통계학

Statistics of Agricultural Indstry

통계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농업뿐만 아니라 농산업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컴퓨팅을 통한 분석과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을 학습함으로써 농업의 전반적인 흐름을 객관화하여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스마트친환경농업및실습

Smart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and Practice

생물 다양성 유지와 생태계 오염의 최소화를 위한 환경친화적 농업의 실천을 위한 토양관리, 시비관리, 병해충 방제, 윤작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스마트방제학및실험

Smart Pest Controls and Experiments

기본적인 방제의 이해를 기반으로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노지뿐만 아니라 식물공장과 같은 시설설비 안에서의 병해충 방제에 대한 실질적인 예방과 대책에 대한 지식을 함양시킨다.


종자산업학

Industrial Seed Science

종자 생산이론, 채종포관리, 종자 검사기준, 포장 검사기준, 종자산업법, 국제종자검사기준, 유전자원관리, 유전자원 국제법 등에 대한 이론의 학습을 통하여 종자 주권에 대한 인식 함양과 국내와 국외의 종자산업의 흐름과 전망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인공기상학및실습

Artificial Meteorology & Practices

기후변화 등 불확실한 농업환경에서 기상요인의 인공적인 제어를 통해 농업(작물)생산성과 토양환경의 안정적인 관리에 대한 개념과 이론 및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농촌지도론및실습

Agricultural Extension Theory and Practices

농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농업을 배움으로써 확고한 농업관과 근면성·협동성 등 바람직한 인간 행동을 기르는 농촌 사회 발전과 개선을 스스로 도모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하는 실천적인 농업인 교육이다

스마트산업곤충학및실습I

Smart Industrial Insects and Practices I

미래 식량 자원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산업곤충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친환경생산컨설팅실무

Environmental friendly agrocultural consulting

농업환경을 보호하며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양분관리를 과학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필요한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식물체 성분 분석 과정 및 그 결과를 해석하는 학습을 진행한다.


농업용드론활용

Agricultural Drone Use and Practices

농업용 드론을 스마트농산업의 핵심 분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업 생산성 및 환경관리에 활용하기 위해 학습하고 실습한다.


웰빙작물산업학

Science of Well-being Industrial Crops

인간의 좀 더 나은 삶을 위해 가공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류하며 재배법을 학습한다.


작물분석학

Crop Analytics

종자 형성의 발달과정, 종자 발아 생리 및 생화학적 변화, 휴면, 그리고 퇴화하는 동안 종자의 구성 성분 변화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여러 실험 방법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여 종자 분석을 응용하여 종자산업학의 기본 지식을 함양한다.


스마트농업환경관리학

Smart manage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인간사회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오염물질이 환경에 유출되고 있어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토양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토양오염의 개념 및 오염물질, 오염관리, 복원방법 등을 학습한다.


스마트산업곤충학및실습II

Smart Industrial Insects and Practices II

미래 식량 자원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산업곤충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산업곤충 사육, 창업 및 마케팅 전반에 걸쳐 학습한다


스마트벼과학및실습II

Smart Rice Science and practices II

벼를 스마트관리법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생산된 산물을 효과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빅데이터기반정밀농업실무

Big Data Applications in Precision Agriculture and Practices

현재 정밀농업과 특정 농업관리에서 사용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정밀농업 분야 연구에 도움이 되는 빅데이터 기반 이론과 실습을 학습한다.


GAP및친환경농산물관리학

GAP and Environmental Friendly Management of Agro-Products

농식품 관련 위해요소에 대응하여 작물의 파종부터 재배, 생산, 수확 후 관리 단계까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산물에 잔류된 농약, 중금속, 미생물 등 위해요소를 차단하고 관리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원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농산업캡스톤디자인

Agro-industry Capstone Design

농산물 생산단계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친환경농업환경 관리실무업무를 실험 실습 위주의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서 학습을 진행한다.


6차산업창업학

6th Industrial Start-up

6차산업을 소개하고 농업농촌으로부터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필수적인 이론과 방법에 대해 다양한 사례와 함께 학습한다.


농산물마케팅실무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Practices

스마트농산업 체계에서 농산물 시장 개방과 무한 경쟁 시대에서 농업경영인으로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마케팅 기술을 학습한다.


친환경농자재개발실무

Eco-agricultural Materials Development and Business

지속가능한 농업의 축인 환경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에 부합되는 환경친화적 농자재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함양하고 실질적인 사업화와 관련된 실무에 대한 이해 능력을 향상시킨다.


농업생태계모델링

Agroecosystem Modeling

농업생태계 모델링을 통해 물질 순환에 관련된 일반적인 배경과 원리를 설명하고, 다양한 토양 프로세스와 식물 생장과 발달 과정을 포함하여 학습한다.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5/04/01 14: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