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제1 그룹 연구내용 : 식물 생체시계 진화 및 조절 기작 연구 | |
식물 생체시계는 광과 온도 같은 외부 환경 신호를 매개로 식물의 생리, 생장, 그리고 발달 반응을 최적화시키는 세포내 핵심 분자 네트워크이다. 식물은 다양한 세포, 조직, 기관으로 이루어진 개체로써, 세포내 다양한 유전적, 생화학적 기전을 이용해 식물체의 다양한 생리 반응을 유도하고 조직 및 기관의 생장과 발달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현재의 표현형 및 유전형질을 갖기 위해 식물은 오랜 시간 지구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생체리듬을 고도로 진화시켜 왔으며, 이에 대한 시스템생물학적 해석은 식물의 생리·생장·발달 반응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또한 생체리듬 최적화를 이용한 식물의 형질 개량 연구는 식물 기반 먹거리의 생산성 증대와 기능성 물질 생산용 식물 개발로 귀결될 수 있는 선진기술 개발이 가능한 연구 분야이다. |
<제 1연구그룹>
연구연계도
| 본 제1 연구그룹은 아래의 핵심 연구내용을 수행한다. - 시스템생물학 기반 생체시계 진화 연구에 적합한 생물 종 확보 및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 분리 - 진화상 대표 종의 오믹스 분석 및 이를 통한 생체시계 인자들의 일주기성 및 환경인자 (광과 온도) 반응의 분자 수준 규명 - 생물 종간 핵심 생체시계 인자의 상호 이종간 직접 및 치환된 형질전환체 제작하여 진화상 환경 인자(광과 온도)에 대한 반응성 차이 분석 - 단백질 구조 결정학, 초저온 현미경을 이용한 생체시계 진동자와 조절단백질의 구조 분석과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조절 작용 기작 규명 - 생체시계 단백질 3차 구조와 진화적인 유전변이와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육상식물 진화 과정 해석으로 기후변화대응 환경 스트레스 적응 가능 식물 최적화 기술 개발 |
김외연 : 식물 육상화에 생체시계 조절기작 다양화와 유전변이의 진화적 기능 해석 연구 물속의 다양한 단세포 광합성 생물들 중 녹조류가 최초로 육상에 진출하였고, 지상의 급격한 서식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식물로 진화하였다. 수중과 육지 환경은 식물의 생존에 필수 요소인 빛과 물의 가용성이 정반대 상황임을 통해 육지식물로의 진화과정에 극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것이다. 이는 생명체가 육상의 스트레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수중보다 dynamic한 일주기성 환경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인 생존 전략 중 하나일 것이다. 식물의 생체시계는 이러한 환경변화 적응을 위한 분자 메커니즘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화과정에서 natural variation을 통한 genetic diversity를 증가시켰다. 최근 연구들에서 애기장대의 생체시계 조절 인자들은 외부 환경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잘 규명되었다. 이러한 수상식물에서 육상식물로의 진화과정에 대한 생체시계의 분자적 기능 연구는 식물의 환경 변화 적응 기전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식물의 진화 전략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
김정일 : 식물 생장과 발달 조절에서의 광 신호 및 생체리듬 연계성 규명
|
윤환수 : 유전체분석을 통한 광합성 진핵생물의 생체시계 기작의 기원과 진화 연구
| |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 홍조식물을 대상으로 빛과 연계된 생체시계와 환경변화에 대응을 위한 세포대사경로의 상호조절 관계를 이해하고, 2) 육상식물로 진화과정에 있는 대표종을 선택하여 수생에서 육상환경으로 변화과정에 관련한 생체시계를 분석하며, 세포와 다세포 광합성생물 간의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의 진화과정을 파악하여 광합성 진핵생물의 생체시계 기작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
임안숙 : 미세조류의 생체리듬 연관 생리생태학적 반응 및 육상식물로의 진화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