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제 2그룹 연구내용: 식물 생체시계와 환경 인자간의 상호작용 연구 | |
일주기 리듬은 많은 생명체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식물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식물은 생물적, 비생물적 스트레스의 환경을 예측하고 이들에 대한 대응을 시간대에 따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으로 시간제어 반응(gating)을 활성화시킨다. 특히, 열, 건조, 냉해, 염분 등과 같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생체시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생체시계는 병원균에 대한 식물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반대로 병원균의 침입은 식물의 생체시계를 재설정하는 등 병원균의 감염과 생체시계 활동은 서로 간에 상호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crosstalk은 생장·발달과 방어를 위해 제한된 자원을 조정하고 재분배하는 식물의 적응에 생체시계가 밀접하게 관여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로 인해 작물의 생육환경이 악화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환경스트레스에 저항성 을 갖도록 작물의 적합도(fitness)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
<제 2연구그룹>
연구 연계도
본 제2 연구그룹에서는 다음 핵심 연구내용을 수행한다. - 식물 생체리듬과 환경스트레스 간에 상호작용하는 핵심 생체시계 인자를 선별한다. - 생체리듬 핵심인자에 의한 대사조절 통합 네트워크 구축하고, 환경스트레스 내성 기작과의 연관성을 밝힌다. - 생체시계 변이 식물에서 비생물적 (건조, 광 등), 생물적 (병원균, 해충), ROS 스트레스 및 식물 호르몬 (ABA, BR 등)에 대한 반응을 탐구하여 환경스트레스 저항성 신호전달 기작을 규명한다. - 생체시계 및 생체리듬 관련 단백질의 구조 연구를 통해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식물 생리 및 대사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 핵심 생체시계 인자를 활용하여 식물의 적합도 증진 및 기후변화 대응 식물 생산 기술을 개발한다. |
서미정 : 생체리듬에 의한 Surface Lipid 대사 조절 기작 규명 생체리듬 (Circadian Rhythm)은 식물 대사를 광범위하게 조절하여 식물의 적합도 (Fitness) 향상 및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생체리듬 관련 핵심 인자에 의한 지질 대사 조절을 분석하고 비생물적/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을 연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적합도 증진 작물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다. 세부 연구 목표로는 생체리듬 혹은 밤/낮 주기에 의한 surface lipid 대사 조절에서 생체리듬 관련 핵심인자의 역할을 규명하여 광신호 전달, 핵심 진동자 및 surface lipid 대사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이러한 현상이 식물의 환경스트레스 (가뭄, 병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과 어떤 상호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아래는 광이 있을 때 합성되는 큐티클 왁스 함량이 광이 없을 때 비해 매우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diurnal cycle을 보이는 전사조절인자 DEWAX-SPL9 module에 의해 조절되나, 생체 리듬 혹은 Dark/Light 주기에서 DEWAX-SPL9 module의 상위조절 기작에 대해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
김상희 : 식물 면역과 생체시계의 crosstalk 규명 |
이상열 : 산화환원 조절에 의한 생체리듬 조절 규명과 환경 내성 작용 기작 규명 |
김영진: 환경 스트레스에 관련한 식물 생체시계 인자들의 단백질 구조연구를 통해 환경스트레스 조절 메커니즘 규명 동, 식물의 성장에 관여하는 생체시계 및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중요성 때문에 동물에서는 BMAL1, CLOCK, PERs, CRYs 와 같은 생체시계 단백질에 대한 구조와 기능 연구는 활발히 진행중이지만 식물에서는 단백질의 발현과 결정화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식물 생체시계 리듬을 조절하는 자이틀루프 (ZEITLUPE, ZTL) 의 LOV 도메인 구조만이 규명되었다. 최근에 동물세포 발현시스템 활용 및 극저온 전자현미경 발전 때문에, 곤충세포에서 식물 크립토크롬 (CRY1) 광수용체의 활성화된 PHR 도메인의 구조가 규명되었지만 | |
이것만으로는 분자수준에서의 식물 생체시계의 정확한 작용 기전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진은 식물의 생체시계 조절과정에서 중요한 자이겐티아(GIGANTEA, GI)와 ZTL과 PPR3을 동물세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현 및 정제하여 직접적으로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을 밝히고, 빛에 의한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식물 생체 시계 조절 기전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동물 시스템에서 확인된 생체시계 조절 단백질간 복합체 형성을 식물 시스템에서 직접적인 단백질간 상호작용을 확인하며, 환경 변화에 따른 복합체 형성 변화를 검증함으로써 생체시계 단백질 복합체의 환경 스트레스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
차준영 : 생체시계와 비생물적스트레스 상호작용을 통한 식물 환경 적응성 기전 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