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경상국립대학교, 2024.04 ~ 2029.03 : 책임자 -과제명: 지진방재 디지털트윈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지진취약 RC 건축물의 지진피해저감 기술 -연구목적: 지진방재 디지털트윈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지진취약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신속·정확 내진성능평가 및 최적 보강전략 구축 완전 자동화 기술개발과 플랫폼 연동(시범사업)을 통한 실용화
• 스마트공동체사업단(USG), 경상국립대학교, 2024.05 ~ 2025.01 : 책임자 -과제명: 인공지능 활용 노후 건축물 복합재난 대응 구조성능 디지털 트위닝 기술 -연구목적: 딥러닝 활용 복합재난(지진,폭발)에 대한 노후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신속 구조성능평가 및 보강전략 관련 데이터생성엔진 기술 개발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세종대학교, 2024.04 ~ 2024.12 : 공동연구원 -과제명: 고도지역(익산) 문화유산 지진위험지도 제작 및 대응기술 연구 -연구목적: 고도지역 중요 문화유산의 지진공학적 지반조사와 지진 안전성 평가를 통한 선제적 대응력 확보 및 문화유산 유형에 따른 지진 대응 기술 개발 등 효과적인 재난 대응 방안 마련 필요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4.04 ~ 2024.11 : 책임자 -과제명: 그린리모델링 시 기존 건축물 잔존수명 및 성능수준 예측을 위한 구조성능 정보 생성 연구용역 -연구목적: 그린리모델링 시 건축물 재료의 강도저감(노후화) 및 건축구조설계기준 변화(건설연도에 따른 구조상세 변화) 등의 영향을 고려한 구조성능 정보를 생성하여 잔존수명 및 구조성능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 제안
• 국토안전관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3.05 ~ 2023.11 : 책임자 -과제명: 챗봇 기반 건축물 자가점검을 위한 프로세스 설계 용역 -연구목적: 건축물 자가점검을 위한 단계별 챗봇 시나리오 구축 및 등급 산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과 카카오톡 기반 챗봇 앱 연계
• 국토안전관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3.08 ~ 2023.12 : 책임자 -과제명: 공작물 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점검 매뉴얼 마련 용역 -연구목적: 부속 공작물에 대한 재난 피해 현황 조사, 공작물 유형별 체크리스트, 매뉴얼 개발 및 대가산정(안) 제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3.08 ~ 2023.11 : 책임자 -과제명: 그린리모델링 시 노후 건축물 구조성능수준 평가 기술 개발 -연구목적: 수직증축/그린리트로핏에 따른 노후 건축물의 구조성능평가 모델 개발 및 기계학습 기반 허용축력 산정 방법론 제시
• 스마트공동체사업단(USG), 경상국립대학교, 2023.05 ~ 2024.02 : 책임자 -과제명: 딥러닝 활용 건축물 스마트 손상 탐지 기술 개발 -연구목적: 딥러닝 활용 건축물 손상유형 탐지 및 등급 분류 자가점검 기술 개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3.07 ~ 2023.12 : 책임자 -과제명: 건축물대장 활용 건축물 내진성능프로파일 정보 생성 및 광역단위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목적: 건축물대장 입력 데이터 활용 내진성능의 프로파일정보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및 이를 활용한 광역단위 내진성능 데이터베이스 구축
• 행정안전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2.05 ~ 2025.12 : (공동)책임자 -과제명: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진재해 지역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연구목적: 한국형 HAZUS 지진모델의 고도화 사업으로, 붕괴위험도, 방재역량평가, 활동곤란도, 지진화재평가 모듈 개발과 GIS 플랫폼 연동 및 검증
• 스마트공동체사업단(USG), 경상국립대학교, 2022.08 ~ 2023.03 : 책임자 -과제명: 공장 제작 및 현장 생산성을 확보한 무해체 강재 거푸집 기술 개발 -연구목적: 건설 생산성 및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무해체 강재 거푸집 접합부 기술 개발, 실험 및 해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연구재단), 경상국립대학교, 2021.05 ~ 2024.02 : 책임자 -과제명: 인공지능 기반 지역 단위 건축물 내진 성능 데이터 생성 엔진 개발 -연구목적: 건축물 대장 DB를 활용 구조물의 DNA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건축물 지역 단위 내진성능을 평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동아 Eng), 경상국립대학교, 2021.07 ~ 2021.10 : 연구원 -과제명: 스트럿-타이 해석기법을 활용한 기초설계 연구용역 -연구목적: 스트럿-타이 기법을 활용한 기초 보강재 설계 및 유한요소해석 용역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상국립대학교, 2021.07 ~ 2021.12 : 책임자 -과제명: 제로에너지건축물 표준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설계 연구용역 -연구목적: 광역 단위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최우선 보수/보강 필요 건축물 선별을 위한 프로그래밍 등을 수행
학위논문
• 박사 논문 Multi-Hazard Performance Criteria for Non-Ductile Reinforced Concrete Frame Building Retrofitted with an FRP Column Jacketing System, 2017 (영어)
• 석사 논문 철골 모멘트저항골조 건물의 보강 전과 후의 내진성능과 반응수정계수 평가, 2010
연구성과
• SCI/SCI(E) 논문 - Frequency-based Data-driven Surrogate Model for Efficient Prediction of Irregular Structure’s Seismic Response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26(14): 7319-7336 - Shaking table testing of an innovative wireway vibration attenuation system.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197:107477 (2022/10/15) - Compressive and shear behavior of brick masonry assemblages strengthened with polyurea coating: Experiment and DEM investigation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48:128534 (2022/08/10) (IF: 7.693) - Quantifying Effect of Post-Tensioned Bars for Precast Concrete Shear Walls. Sustainability 14(1):6141 (2022/05/18) - Experimental study of a novel lighting support system reinforced with a pulley friction damper.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52:104385 (2022/7/15) (IF: 7.144) - Optimum retrofit strategy of FRP column jacketing system for non-ductile RC building fram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hybrid approach.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57:104919 (2022/10/1) (IF: 7.144) - Seismic Damage Mitigation Strategy of FRP Column Jacketing System for Gravity-Designed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 Composite Structures 279.114700 (2022/1/1) (IF: 6.603) -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seismic performance of retrofitted RC columns with web direct/indirect bonding external H-section.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44: 103404 (IF: 7.144) - Ultimate axial capacity prediction of CCFST columns using hybrid intelligence models-a new approach . Steel & Composite Structures 40(3): 461-479 (IF: 5.733) - Frequency-based data-driven predictive modeling in comparative fragility assessment with conventional method of piloti-type building.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online published, 2021/08/23) - Rapid Decision-Making Tool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trofit Strategy using Multi-Dimensional Structural Parameter Surface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151:106978 (2021/12) - Machine Learning-Based Approach for Seismic Damage Prediction Method of Building Structures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 Sustainability, 13(8), 4334. - Machine learning-based approaches for seismic demand and collapse of ductil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s.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4, 101905. - Seismic fragility assessment of columns in a piloti-type building retrofitted with additional shear walls. Sustainability 12(16): 6530 (2020/8/12) - Hybrid BART-based models optimized by nature-inspired metaheuristics to predict ultimate axial capacity of CCFST columns. Engineering with Computers,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Simulation-Based Engineering (Accepted: 07/10/2020) - Analyz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een Fly Ash based Geopolymer Concrete using Experiment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Construction & Building Materials. 247: 118581, 2020.06.30. - Multi-Hazard Assessment and Mitigation for Seismically-Deficient RC Building Fram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Engineering Structures (2020.03.15.) - Implementation of bond-slip performance models in analyses of non-ductile reinforced concrete frames under dynamic load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24(1):129-154 (2020.01.02.) - Retrofit scheme of FRP jacketing system for blast damage mitigation of non-ductile RC building frames. Composite Structures. 228, 2019.10.15. - Seismic Mobile Shaker Testing of Full-Scale RC Building Frames with High-Strength NSM-FRP Hybrid Retrofit System. Composite Structures. 226, 2019.08.24. - Influence of Shear-Axial Force Interaction on Seismic Performance of a Piloti Building Subjected to 2017 Earthquake in Pohang Korea. Structural Concrete, 2019.07.05. - Mainshock-aftershock response analyses of FRP-jacketed columns in existing RC building frames. Engineering Structures. 165: 315-330, 2018.06.15. - Dynamic response of a full-scal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 retrofitted with FRP column jackets. Engineering Structures. 125: 244-253, 2016.10.15. - Anchor plate effect on the breakout capacity in tension for thin-walled concrete panels. Engineering Structures. 106: 147-153, 2016.01.01. - Probabilistic performance-based structural retrofit using buckling-restrained knee braces for gravity-designed steel building.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104: 250-260, 2015.01.01. - Seismic assessment of damaged piloti-typ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ubjected to successive earthquake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43: 1603-1619, 2014.02.07. - Different macroscopic models for slender and squat reinforced concre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s. Earthquakes and Structures. 7(5): 877-890, 2014.11.28. -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seismic behavior of double-layer barrel vault systems with different open angles. Thin-Walled Structures. 54: 113-125, 2012.05.01. -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on buckling-restrained knee bracing systems with channel s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12(1): 93-105, 2012.04.05.
• KCI 게재 논문 - 유한요소해석을 활용한 지진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부착성능 효과 연구.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22(4): 99-107, 2022.12 - CFT 기둥과 합성보로 구성된 CJS 합성구조시스템의 유한 요소해석 연구.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26(2): 71-82, 2022.2 - CFT 와 합성보로 이루어진 CJS 합성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26(2): 83-93, 2022.2 - 경계조건과 형태 기반으로 구성된 5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진동대 실험을 통한 내진성능 검증. 조명· 전기설비학회논문집 35(12), 2021.12 - 복합재난(지진, 폭발)에 대한 건축물 구조 안전 신속 평가 기법.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기사 25(3), 2021.09 - AI 이미지 모듈을 활용한 치장조적벽의 건전도 평가. 대한건축학회 학술기사 65(5), 2021.04 - 폭발 하중에 대한 FRP 재킷 시스템이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 해석 모델 개발. 한국공간구조학회 논문집, 2021.06 - FRP 기둥 재킷 시스템이 보강된 지진 취약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유한요소해석. 한국공간구조학회 논문집, 2021.06 - AI 이미지모듈을 통한 외관조사망도 작성 및 치장 조적벽의 건전도 평가. 한국공간구조학회지 20(4): 6-13, 2020.12 -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진동 감쇠형 와이어웨이시스템의 내진성능 검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20(4): 185-192, 2020.12 - 지반-상부 구조물 효과를 고려한 인공신경망 기반 지진 응답 예측 모델 개발. 한국지반공학회 36(8), 2020.08 - BIM/GIS 플랫폼 기반 건축물 지진 안전 통합관리시스템. 한국공간구조학회지 20(1): 18-22, 2020.03 - 고강도 표면매립용 철근과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비연성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실물 진동기 실험.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3(1): 459-460, 2019.01 - 내재해형 연동 비닐하우스 접합부의 회전강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34(12): 3-10, 2018.12 - 연동비닐하우스 기초의 회전저항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9(9): 5-12, 2018.09 - FRP 자켓 시스템이 보강된 비내진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실물 크기 강제 진동 실험.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5): 281-289, 2018.06 - 초기 손상을 입은 비연성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FRP 재킷으로 보수된 기둥의 수치해석모델.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5): 291-298, 2018.06 - 앵커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 및 탄성기반 해석 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5(4): 381-388, 2013 - 연속 지진에 의하여 손상된 필로티 RC 건축물의 BRB 보강 전/후의 취약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7(3): 133-141, 2013 - 비좌굴가새의 보강 전과 후의 철골 특수모멘트저항골조건물의 R계수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7(1): 11-19, 2013 - 거시적 모델을 다르게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비선형 해석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6(5): 1-11, 2012 - 취약성 등고선을 이용한 비내진 2층 철골조 건축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와 보강.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6(2): 47-60, 2012 - 시간종속요소를 이용한 5층 RC건축물의비좌굴가새 보강에 대한 내진거동.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4(6): 11-21, 2010 - 다양한 이력 접합부가 적용된 철골 모멘트저항골조의 내진성능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5(11): 19-27, 2009 - 볼팅 고정 채널 형강 보강재를 이용한 비좌굴 Knee Bracing System의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3(2): 37-46, 2009 - 지진하중에 대한 복층 배럴볼트 시스템의 동적거동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구조학회 논문집. 9(1): 87-94, 2009 - 반응수정계수와 주기의 영향에 대한 철골모멘트저항골조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2(5): 47-56, 2008
• 주요 특허 - 모듈 조립식 무해체 거푸집 시공 방법, 국내특허출원일자(2023년 1월) - 건물의 안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국내특허출원일자(2022년 4월), 특허출원번호(10-2022-0048024) - 기존 설치된 외장 패널의 앵커 인발강도 보강 방법, 국내특허출원일자(2022년 9월), 특허출원번호(10-2022-0115327) - 지역 변수 및 건축물 특성을 고려한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빌딩풍 및 건축물 안정성 예측 기술 및 그 방법, 국내 특허출원 일자(2021년 10월), 특허출원번호(10-2021-0147151) -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하이브리드 손상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국내 특허출원 일자(2021년 10월 19일), 특허출원번호(10-2021-0139448) - 건축물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초고속 데이터생성 엔진 및 그 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21년 10월 18일), 특허등록번호(10-2316603-00-00) - 내진성능 평가 데이터베이스-기반 필로티 구조의 내진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국내 특허출원 일자(2019년 11월 14일), 특허출원번호(10-2019-0145563) - 건축물의 신속 내진성능평가 시스템 및 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21년 2월 22일), 특허등록번호(10-2220706) - 지반-상부구조물 효과(SSI)를 활용한 건축물의 신속 내진성능평가 시스템 및 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21년 2월 22일), 특허등록번호(10-2220709) - 복합재난 취약 건축물의 최적보강전략을 위한 초고속 구조성능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20년 7월 6일), 특허등록번호(10-2175187) - 플레이트 휨 방지용 지지부를 구비한 중단열 외벽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5년 5월 21일), 등록번호(10-1523646) - 콘크리트 측압 저항성능이 증진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4년 2월 26일), 등록번호(10-1366503) - 정압 및 부압에 저항할 수 있는 중단열 프리캐스트 벽체 및 그 시공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3년 11월 29일), 등록번호(10-1337325) - 수평절곡부를 가진 철근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3년 9월 24일), 등록번호(10-1312990) - 편심 파형 에프알피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3년 7월 9일), 등록번호(10-1286016) - 편심확보용 스페이서,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3년 8월 22일), 등록번호(30-0705314) - 편심배치용 스페이서, 국내 특허등록 일자(2013년 5월 23일), 등록번호(30-0695061)
• 소프트웨어 등록 - 창호 프레임 재질 자동 탐지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5) - 이미지 기반 창호 구성 정보 자동 탐지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6) - 바람 하중 적용을 위한 바람시나리오 자동 데이터 생성 소프트웨어,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4) - 지진 측정 기록의 비선형 해석을 위한 지진시나리오 데이터 새성 소프트웨어,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2) - 건축물 지진시뮬레이션 자동 후처리 소프트웨어,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3) - 건축물 대장 정보 기반 자동 비선형 모델링 소프트웨어,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20년 11월 16일), 등록 번호(C-2020-042221) - IFC기반 수직비정형 건물 내진성능평가지표 산정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19년 10월 31일), 등록 번호(C-2019-031097) - 지진안전정보 3차원 시각화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19년 10월 31일), 등록번호(C-2019-031098) - 건축물 내진취약등급 정보 추출 가시화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19년 6월 20일), 등록 번호(C-2019-018031) - 구조체 치수정보에 기반한 건축물 예비 내진성능평가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18년 11월 7일), 등록 번호(C-2018-030765) - 구조체 치수정보에 기반한 수직비정형 건축물 간략 내진진단 프로그램,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2018년 11월 7일), 등록 번호(C-2018-030764) - 소규모건축물 파악을 위한 건축물대장 프로세스, 국내 소프트웨어 등록 일자 (2013년 12월 18일), 등록 번호(C-2013-028014)
• 연구실 소개(스마트 건축구조 내진공학 연구실)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스마트 건축구조 내진공학 연구실은 지진, 태풍, 폭발 등 다양한 재난에 대한 건축물/시설물의 구조성능평가 및 기존 건축물/시설물의 성능 향상(보수/보강) 관련 실험 및 해석 연구 관련 전통 분야 연구를 수행하며, 이와 더불어 4차 산업 기술 중 핵심 기술인 인공 지능(기계학습, 딥러닝 등) 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응 건축물 성능 평가 자동화 및 초고속 데이터 생성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모두가 쉽게 누리는 안전한 삶”을 실현하는 곳이다.
• 실험동 소개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구조실험동은 건축물의 주요 구조 부재(기둥, 보, 보-기둥 접합부 등), 기둥, 골조 관련 보강 시스템 등의 실물 크기의 지진 성능 평가를 위한 횡 가력 실험 등이 가능한 곳으로, 최근 관련 시설의 리모델링 계획 중으로, 건축공학과 학부생을 위한 구조공학 관련 이해도 극대화를 위한 실험 공간과 R&D 수행을 위한 실험 공간으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관련링크
• 교수 연구 실적 관련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hl=en&user=DyQQYLY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 교수 연구/교육 철학 관련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eel_kict&logNo=222004556526&categoryNo=1&parentCategoryNo=1&from=thumbnailList#
교수 오피스 및 연구실 위치
• 교수 오피스 : 407동 411호 • 대학원 연구실 : 스마트 건축구조 내진공학 연구실, 407동 412호 • 실험실: 건축구조실험실, 406동 12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