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학, 경영 및 IT 정보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시스템 공학인 양성
⦁ 2030년 산업공학 분야 국내 Top 7 진입
⦁ 4차 산업혁명 시대 맞춤형 교육 시스템 전환
⦁ 빅데이터, 스마트 공장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 중심 연구 특성화
⦁ 지역 내 기업 및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쉽 구축을 통한 산-학-연 협력시스템 구축
⦁ 분야별 Co-Work 연구조직 구축을 통한 융-복합연구 활성화
⦁ 제조, 물류, IT, 정보통신, 컨설팅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이 요구하는 시스템 설계·관리·운영 기술인력 양성
⦁ 모집단위 광역화에 대응한 산업공학, 산업정보공학 전공 교과과정 설계 및 운영
⦁ 빅데이터, 스마트 공장 관련 교육 및 연구 사업 추진
⦁ 빅데이터융합전공 및 데이터사이언스학융합전공 운영
⦁ 대학원 기술경영학과(MOT), 과학기술정책학과(STP), 우주항공기술경영학과 설립 및 운영
⦁ 경남지역주도혁신성장을 위한 산학연 협력 체계 활성화
⦁ 국가 공동 연구과제 참여 기회 확대 및 대학원 활성화
❑ 1단계 세부발전 계획 (2024~2029): Industry 4.0 중심 연구·교육 역량 강화
⦁ 4차 산업혁명 유관 교과목 개발 및 기존 교과목 재편
⦁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적 이슈 및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PBL (Problem-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강화
⦁ 국책 연구 과제의 수주 및 연구 수행을 통한 연구 활성화를 통해, 대학원 진학률 향상
⦁ 스마트 생산,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신임교원 확보
⦁ 4차 산업혁명 교육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학과 내 TF 구성 및 운영
⦁ 지역 내 산학협력 확대를 위한 파트너 기업 확보 및 학생의 기업 탐방 프로그램 활성화
❑ 2단계 세부발전 계획 (2029~2033): Industry 4.0 중심 연구·교육 역량 안정화
⦁ 대학원 커리큘럼 내실화를 위한 응용 교과목 비중 확대
⦁ 융복합 연구 확대를 위한 학과 내 연구 교류회 및 세미나 활성화
⦁ 안정적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교육, 연구, 실무의 선순환 구조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