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육과정소개

홈으로 이동 석사과정교육과정소개

GNU 행정대학원 교육과정 (2025~2026학년도)

여러분이 배우게 될 교육과정에 관한 정보입니다. 


1. 행정학과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교과

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영 문 명)

학점

학점-이론-실기

개설

년도

개설

학기

평가


12200195

행정의이해 Understanding Public 

Administr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217

행정학특강(Special Topic on Public ministration)

2-2-0

매년

2

등급

12200201

인사행정론(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204

행정윤리론(Ethics of Public Administration)

2-2-0

매년

2

등급

12200198

행정조직론(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Organizations)

2-2-0

매년

1

등급

12200192

계량분석론(Quantitative Analysis)

2-2-0

매년

1

등급

12200224

리더십론(Leadership in Public Organiz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332

조직행태론(Seminar in Organizational Behaviros)

2-2-0

매년

2

등급

12200226

행정사례특강(Case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2-2-0

매년

2

등급

12200196

지방자치의이해(Understanding Local Government)

2-2-0

매년

1

등급

12200181

지방문화론(Understanding Local Culture)

2-2-0

매년

1

등급

12200174

지방자치학특강(Special Topic on Local Government)

2-2-0

매년

2

등급

12200166

지방의회론(Local Council)

2-2-0

매년

2

등급

12200193

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s)

2-2-0

매년

1

등급

12200327

공공관리입문 (Introduction to Public Management)

2-2-0

매년

2

등급

12200187

지방재정론(Local Finance)

2-2-0

매년

1

등급

12200203

재무행정론(Public Budgeting Finance)

2-2-0

매년

2

등급

12200207

정책학개론(Public Policy Analysis)

2-2-0

매년

1

등급

12200372

디지털사회와정부(Digital Society and Government)

2-2-0

매년

2

등급

12200172

도시행정론(Urban Studies)

2-2-0

매년

2

등급


  2. 응용심리학과 (Department of Appiled Psychology)

교과

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영 문 )

학점

학점-이론-실기

개설

년도

개설

학기

평가

비고

세미나

12200072

세미나(()Seminar())

1-1-0

매년

1,2

등급



12200077

고급일반심리학(Advanced Gener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공통

12200333

고급일반심리학(Advanced Gener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34

고급일반심리학(Advanced Gener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66

산업상담및코칭(Industrial Counseling & Coach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091

산업스트레스(Industrial Stress)

2-2-0

매년

1,2

등급

12200080

조사연구방법(Method of Survey Research)

2-2-0

매년

1,2

등급

12200335

조사연구방법(Method of Survey Research)

2-2-0

매년

1,2

등급

12200336

조사연구방법(Method of Survey Research)

2-2-0

매년

1,2

등급

12200358

팀역학(Team Dynamics)

2-2-0

매년

1,2

등급

12200359

심리학실험법(Psychology Experiments)

2-2-0

매년

1,2

등급

12200360

문화심리학(Cultur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61

재범방지와심리적개입(Recidivism Preventio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2-2-0

매년

1,2

등급

12200367

가족상담과 코칭(Family Counseling & Coaching)

2-2-0

매년

1,2

등급

코 칭 상 담

12200368

건강코칭상담(Health Coaching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078

고급상담심리학(Advanced Counseling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69

코칭상담이론(Coaching Counseling Theory)

2-2-0

매년

1,2

등급

12200311

상담실습(Practice of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12

상담윤리(Ethics of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075

상담이론및실제(Theories & Practices of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15

성격심리(Psychology of Personality)

2-2-0

매년

1,2

등급

12200314

성인및노인심리(Adulthood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70

코칭심리검사(Coaching Psychological Test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20

심리평가(Psychological Assessment)

2-2-0

매년

1,2

등급

12200318

이상심리(Abnorm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19

중독상담(Addiction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13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71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62

코칭심리학(Coaching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63

감정코칭(Emotion Coach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64

코칭상담실습(Practice of Coaching Counsel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365

코칭상담사례연구(Coaching Counseling Case Study)

2-2-0

매년

1,2

등급

12200092

경력개발과관리(()Career Development & Management())

2-2-0

매년

1,2

등급

12200081

광고심리학(()Advertising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05

디지털마케팅(()Digital market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084

마케팅전략(()Marketing Strate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28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29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09

산업심리주요문제(()IssuesonIndustrial&Organizational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074

산업심리학연구방법(()Experimental Design & Research Method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082

소비자행동(()Consumer Behavior())

2-2-0

매년

1,2

등급

12200076

심리평가및진단(()Psychological Assessment & Diagnosis())

2-2-0

매년

1,2

등급

12200085

인사심리실무(()Practices in Personel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30

조직문화심리학(()Organizational Culture and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08

직업건강및웰빙(()Vocational Health and Wellbeing())

2-2-0

매년

1,2

등급

12200083

커뮤니케이션심리학(()Communication Psychology())

2-2-0

매년

1,2

등급

12200303

행동경제학(()Behavior economics())

2-2-0

매년

1,2

등급


  3. 사회복지학과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교과

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영 문 명)

학점

학점-이론-실기

개설

년도

개설

학기

평가

세미나

12200264

세미나(Seminar)

2-0-4

매년

1,2

등급























12200285

사회복지학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3-3-0

매년

1,2

등급

12200268

인간행동과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3-3-0

매년

1,2

등급

12200269

사회복지조사론(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3-3-0

매년

1,2

등급

12200270

사회복지실천론(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3-3-0

매년

1,2

등급

12200271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3-3-0

매년

1,2

등급

12200272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ork & Welfare)

3-3-0

매년

1,2

등급

12200273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3-3-0

매년

1,2

등급

12200274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3-3-0

매년

1,2

등급

12200286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ial Welfare Legislation & Practice)

3-3-0

매년

1,2

등급

12200298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ork Practicum)

3-0-3

매년

2

등급

12200277

여성복지론 (Social Service for Women)

3-3-0

1

등급

12200299

학교사회복지론 (School Social Welfare)

3-3-0

2

등급

12200279

동복지론 (Child Welfare)

3-3-0

2

등급

12200280

장애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3-3-0

매년

1

등급

12200281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3-3-0

1

등급

12200282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3-3-0

2

등급

12200300

의료사회복지론 (Social Welfare of Health care)

3-3-0

2

등급

12200301

사회복지역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3-3-0

2

등급

12200321

가족복지론 (Family Welfare)

3-3-0

2

등급

12200322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3-3-0

1

등급

12200323

노인복지론 (Welfare for the Aged)

3-3-0

2

등급

12200324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Welfare)

3-3-0

1

등급

12200325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3-3-0

1

등급

12200287

공공부조론 (International Perspectives of Social Assistance)

2-2-0

2

등급

12200288

사회보험론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Social Insurance)

2-2-0

2

등급

12200289

부부 및 가족치료 (Marital & Family Therapy)

2-2-0

2

등급

12200302

정신건강사회복지론 (Social Welfare in Mental Health)

2-2-0

1

등급

12200291

빈곤정책론 (Theory on Poverty Policy)

2-2-0

2

등급

12200292

비영리조직과사회복지 (Non Profit Organization & Social Welfare)

2-2-0

1

등급

12200293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2-2-0

1

등급

12200294

사회복지윤리와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2-2-0

2

등급

12200295

한국사회복지론 (Theory of Social Welfare in Korea)

2-2-0

1

등급

12200296

한국사회보장의역사 (Social Security History in Korea)

2-2-0

2

등급

12200297

인권과사회복지 (Human Rights & Social Welfare)

2-2-0

2

등급

12200326

 한국사회복지의 쟁점(Issues in Korean Social Welfare)

2-2-0

1

등급

12200331

 청소년복지론(Youth Welfare and Services)

2-2-0

1

등급


  4. 국제개발협력학과 (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r)

교과

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영 문 명)

학점
학점-이론-실기

개설

년도

개설

학기

평가
(등급,급락)

세미나

12200001

세미나 (Seminar)

2-2-0

매년

1,2

등급

전공

과목


12200012

국제관계의이해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337

양적분석 (Quantitative Analysis)

2-2-0

매년

2

등급

12200338

개발과환경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2-2-0

매년

1

등급

12200339

글로벌져스티스 (Global Justice)

2-2-0

매년

2

등급

12200340

글로벌시티즌십 (Global Citizenship)

2-2-0

매년

1

등급

12200341

지역연구의이해 (Understanding of Area Studies)

2-2-0

매년

2

등급

12200342

동남아시아의이해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2-2-0

매년

1

등급

12200343

동남아시아거버넌스와국제개발협력 (Southeast Asian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2-0

매년

2

등급

12200344

국제개발협력과권위주의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nder Authoritarianism)

2-2-0

매년

1

등급

12200345

산업화와민주화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2-2-0

매년

2

등급

12200346

국제개발협력의이해 (Understa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347

국제개발협력과국제정치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Politics)

2-2-0

매년

2

등급

12200348

이슈로알아보는국제개발협력이야기 (Issu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2-0

매년

1

등급

12200349

국제개발협력과글로벌거버넌스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Global Governace)

2-2-0

매년

2

등급

12200350

개발협력프로젝트사이클매니지먼트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Cycle Management)

2-2-0

매년

1

등급

12200351

개발협력기획,평가와모니터링 (Development Cooperation Plan, Evaluation, Monitoring)

2-2-0

매년

2

등급

12200352

개발은행과국제기구프로젝트분석 (MDB, Int’l Org. Project Analysis)

2-2-0

매년

1

등급

12200353

과학기술,ICT,산업에너지,보건·수의·축산개발협력 (S&T, ICT, Industry, Energy, Health, Veterinary Medicine Dev. Coop.)

2-2-0

매년

2

등급

12200354

ESG개발협력과민관협력 (ESG Development Cooperation and PPP)

2-2-0

매년

1

등급

12200355

아프리카·중남미개발협력전략론 (Africa and Latin America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ies)

2-2-0

매년

2

등급

12200355

트윈전환과기후변화개발협력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Climate Change Dev. Coop)

2-2-0

매년

1

등급

12200357

농업·해양수산·문화스포츠·지식재산개발협력(Agriculture, Oceans & Fishery, Culture, Sports, IP Dev. Coop)

2-2-0

매년

2

등급


  5. 사법행정학과 (Department of Judical Administrations)

교과

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영 문 명)

학점

학점-이론-실기

개설

년도

개설

학기

평가

세미나

12200124

세미나 (Seminar)

2-2-0

매년

1,2

등급

전공

과목


12200127

헌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onstitutional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28

민사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ivil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29

형사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riminal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30

행정법특강 (Selected Topics on Administrative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32

법사회학특강 (Selected Topics on Sociology of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33

특별사법연구 (Study on Special Civil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34

민사절차법연구 (Study on Civil Procedure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35

사회법특강 (Selected Topics on Social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36

회사법판례연구 (Case Study on Corporation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37

기업법특강 (Selected Topics on Business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38

토지공법론 (Theory of Public Land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39

형사절차법연구 (Study on Criminal Procedure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40

금융법연구 (Study on Finacial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41

도산법연구 (Study on Bankruptcy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42

개별행정법연구 (Study on Special Administrative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43

부동산법연구 (Study on Real Estate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44

지적재산법연구 (Study on Intellectual Property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45

인권법연구 (Study on Human Right Law)

2-2-0

매년

2

등급

12200146

소비사회와법 (Study on Consumer Society and Law)

2-2-0

매년

1

등급

12200147

생명의료법연구 (Study on Biomedical Law)

2-2-0

매년

2

등급


4. 학과별 교과목 개요

1) 행정학과(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12200195 행정의이해 (Understanding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연구대상과 행정학의 성격 및 범위를 이해시키고행정학이라는 학문영역이 포괄하고 있는 제반 문제를 다룬다.


12200217 행정학특강 (Special Topic on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 이론적 지식을 많이 보유하더라도 그러한 지식을 실제에 적용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교육의 성과는 효율성이 낮게 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식의 행정실제 적용이나 응용력을 제고시키는 과목이다.


12200201 인사행정론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인사관계법령인사행정기관인사제도(제도부문), 채용시험임용(인적자원의 확보), 능력발전, 근무규율(인적자원의 활용), 퇴직관리연금제도(인적자원의 배출)에 관한 거시적인 내용을 개괄적으로 강의한 후에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40여개의 주제 중에서 학생이 선택하여 발표 및 토론하게 한다.


12200204 행정윤리론 (Ethics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의 가치와 규범을 다루는 분야로서 각국의 행정윤리 현상을 검토하고 행정 처방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둔다행정윤리론에서 다루는 측면들은 윤리학의 기초이론(공리주의론의무론도덕실천론), 다양한 행정의 가치 및 이념행정 신뢰행정부패행정책임공익다양한 행정통제 방안 등이다.


12200198 행정조직론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Organizations)

  오늘날 사회는 조직에 의해 움직이며 조직은 숫자적으로 많아지고 규모면에서도 커지고 있다. 국가는 행정조직에 의해 운영되므로 이를 연구하고 배우는 과목이 행정조직론이다강의하는 내용은 조직이론의 발달과정조직환경조직의 목표와 효과성조직구조관료제조직관리조직행태, 조직권력조직발전현재의 조직미래의 조직과 북한의 행정조직 등이다.


12200192 계량분석론 (Quantitative Analysis)

  본 강의를 통하여 수강학생들은 연구설계(research design)의 능력즉 스스로 적절한 연구문제를 선정하고과학적인 조사연구를 설계하고이에 따라 자료를 수집처리그리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연구설계(research)란 가장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서 과학적인 조사연구를 개념화하고, 기획하고조직화하는 과정과 그 산출물로써의 연구계획서를 말한다.


12200224 리더십론 (Leadership in Public Organization)

  공직분야에서의 리더는 조직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공직자 육성을 목표로 하는 행정학과에서 장차 조직의 성공적 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을 갖도록 인도하는 과목이다.


12200332 조직행태론 (Seminar in Organizational Behaviros)

  행정조직에 전개되는 다양한 행동과 태도들을 연구한다그 다양한 형태들의 수준들은 개인수준(성격,태도동기 등집단 수준(역할관계집단역학팀 등), 조직 수준(구조기술환경문화, 권력 등)으로 구별된다이들 각 행태의 학습은 행정조직의 현상을 이해하고 행정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함으로써 국민에게 봉사하는데 도움이 되는 과목이다.


12200226 행정사례특강 (Case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은 매우 폭넓은 분야이다각 영역별로 제기되는 쟁점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그에 관한 지식 등이 다양하다행정실제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성패의 사례를 분석하여 지식과 경험을 생성하여 축적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과목이다.


12200196 지방자치의이해 (Understanding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의 본질과 형식지방정부의 구조와 기능지역사회와 지방정부의 관계 등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12200181 지방문화론 (Understanding Local Culture)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함께 지역사회단위로 다양한 가치와 지향을 가지고 지역사회를 창적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이 전개된다그런 과정에서 지역단위로 구성원들의 생활양식을 전승하고 창조하는 지방정부의 활동이 중요하다이러한 노력을 고찰하는 과목이다.


12200174 지방자치학특강 (Spacial Topic Local Government)

  현안으로 대두하고 있는 지방자치의 제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 이론과 지방자치 현장의 접목을 시도하는 과목이다.


12200166 지방의회론 (Local Council)

  지방정부는 권력책임배분에 따라 정부형태가 달라진다그러나 정책을 결정하는 기능즉 의결기능은 달라지지 않는 바 의결기능을 담당하는 지방의회의 본질·구성· 기능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케 한다.


12200193 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s)

  본 교과목에서는 행정 및 정책현상을 과학적으로 조사 연구하는데 필요한 개념적(conceptual), 방법론적(methodological), 그리고 기술적(technical)인 지식을 학습한다.


12200327 공공관리입문 (Introduction to Public Management)

  현대 정부의 역할 또는 행정의 핵심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공공관리의 실체를 파악하고 정부관료인 공공관리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본 과목 수강의 핵심목표이다본 과목에서는 공공관리론의 성립과 발전공사부문간 비교전략과 혁신정책과정거버넌스와 참여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룬다.


12200187 지방재정론 (Local Finance)

  지방정부가 공공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모든 경제활동이 지방재정이다지방정부가 효율성과 형평성을 지향하며 재원의 확보와 재원의 활용을 집합적 결정을 통하여 실현하는 매커니즘을 이해하게 한다.

  지방정부의 재정운영 및 예산문제를 경제학행정학적 측면에서 연구하며구체적으로는 지방정부의 세출세입지방재정력과 지방자치 등을 연구한다.


12200203 재무행정론 (Public Budgeting Finance)

  예산은 정부활동의 규모와 내용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이러한 맥락에서 예산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예산과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예산과 관련하여 정부활동의 효율성과 비효율성의 논결로 제시되어 온 시장실패론과 비시장실패론 등의 이론을 살펴본다아울러 예산과정상의 주요 쟁점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예산제도의 개혁 과제를 살펴본다.


12200207 정책학개론 (Public Policy)

  본 교과목에서는 정책 의제의 설정에서 공공정책의 형성집행평가 등으로 연결되는 정책과정을 개관하고 공공정책 형성의 합리적 논리와 정치적 논리의 이해를 통해 현실의 정책형성을 해석하고 또 구체적인 정책문제의 해결에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12200372 디지털사회와정부 (Digital Society and Government)

  날로 심화되는 디지털사회의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동시에 이에 맞추어 변화하는 정부의 양상을 이해하고나아가 미래정부의 모습을 그려본다.


12200172 도시행정론 (Urban Studies)

 도시화의 개념도시화의 요인과 특징우리나라 도시화의 특징과 유형한국의 도시화에 관한 개괄적인 내용을 강의한 후에 주택교통공해하수도공원도시재해쓰레기여가시설지이용소외계층의식구조 등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발표토론하게 한다.

2) 응용심리학과 (Department of Appiled Psychology)

12200072 세미나 (Seminar)

  대학원생들에게 자신의 연구주제를 발표하게 함으로써본인의 연구주제를 청중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지연구주제가 얼마나 참신한지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였는지를 발표하게 하여 발표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구주제 토론을 겸하게 하여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며영어발표를 겸함으로써 외국학회등의 발표를 대비케 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12200333 고급일반심리학Ⅰ (Advanced General Psychology)

  빠르게 발전해가는 심리과학 분야의 최근 연구 추세와 연구방법들을 중요한 주제 중심으로 개괄한다특히 산업 및 조직 영역에서의 심리학의 응용과 관련된 중요 주제들과 심리학의 기초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현장에서의 응용능력을 갖추는데 이 강좌의 목적이 있다.


12200334 고급일반심리학Ⅱ (Advanced General Psychology)

  고급일반심리학교과목을 연계로 하여 빠르게 발전해가는 심리과학 분야의 최근 연구 추세와 연구방법들을 중요한 주제 중심으로 개괄한다특히 산업 및 조직 영역에서의 심리학의 응용과 관련된 중요 주제들과 심리학의 기초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현장에서의 응용능력을 갖추는데 이 강좌의 목적이 있다.


12200334 조사연구방법Ⅰ (Method of Survey Research)

  기업체와 같은 산업조직에서 발생하는 인간행동의 문제를 이해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인간행동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

  이 강좌에서는 현장에서 인간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분석하여 결과의 시사점을 얻어내는 현장조사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기법들을 소개하고실제로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실습을 통하여 조사방법에 대한 실무적 훈련을 하는데 목적을 둔다.


12200336 조사연구방법Ⅱ (Method of Survey Research)

  기업체와 같은 산업조직에서 발생하는 인간행동의 문제를 이해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인간행동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

조사연구방법 교과목을 기반으로이 강좌에서는 현장에서 인간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의 시사점을 얻어내는 현장조사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기법들을 소개하고실제로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실습을 통하여 조사방법에 대한 실무적 훈련을 하는데 목적을 둔다.

12200358 팀역학 (Team Dynamics)

  본 강좌는 현장 기업 및 조직에서 수행의 기본 단위인 과업집단()의 역학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구체적으로팀 역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이론과 개념을 학습하고팀 수행을 증진 혹은 저해하는 요인과 과정을 실제 현장 사례와 접목시켜 파악한다.

12200359 심리학실험법 (Psychology Experiments)

  본 강좌는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연구방법으로 실험법의 목적과 방법주요 특징을 이해하고인지발달사회심리 등 기초 심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대표적인 실험연구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200360 문화심리학 (Cultural Psychology)

  문화는 무엇이고문화가 어떻게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무형의 환경으로서 가치관관습행동양식 등의 심리적 의의를 살펴보고국가들간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학습함

12200361 재범 방지와 심리적 개입 (Recidivism Preventio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범죄자의 재범을 방지하고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인 개입 방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범죄자가 재범을 저지르는 이유와 영향요인이 무엇인지재범 위험성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범죄자의 재범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개입 방식에는 무엇이 있는지 학습함

12200091 산업스트레스 (Industrial Stress)

  직장 조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및 심리적 갈등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를 높인다스트레스와 갈등의 원인 요인들과 스트레스에 따른 신체심리적 결과진단 및 평가방법그리고 예방 및 대처방안들에 대해서 배운다.

12200366 산업상담및코칭 (Industrial Counseling & Coaching)

  산업상담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상담과 코칭의 이론을 학습하고 사례 실제를 연습한다.

12200074 산업심리학 연구방법 (Experimental Design & Research Methodology)

  산업심리학 연구의 실험실 설계 및 현장 조사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설계 논리 및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수집된 자료를 PC를 통해서 통계적으로 처리분석해석하는 기법들에 대하여 강의 및 실습을 통해서 학습한다.

12200076 심리평가및진단 (Psychological Assessment & Diagnosis)

  직무관련 능력적성성격동기 등 개인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표준화 심리검사를 비롯한 심리측정 기법들의 원리와 기법사용자로서의 자질 등을 습득한다실제로 산업조직 현장에서 사원 상담선발평가를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심리검사나 평가도구들을 다룰 수 있도록 실습을 병행한다.

12200081 광고심리학 (Advertising Psychology)

  광고 효과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심리학 이론과 원리에 대한 이해 및 우수한 광고 사례분석

12200082 소비자행동 (Consumer Behavior)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 그것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 이해

12200083 커뮤니케이션심리학 (Communication Psychology)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설득 심리학 원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및 사례분석

12200084 마케팅전략 (Marketing Strategy)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인 심리학적 원리와 이론에 대한 이해 및 실무적 응용방안

12200085 인사심리실무 (Practices in Personnel Psychology)

  전통적인 초기 산업심리학 분야인 인사심리학의 선발배치훈련 및 수행평가들에 관한 산업조직 현장에서의 실무적인 문제들을 사례로 발췌하여 분석하고 평가하는 산학협동적 접근방법으로 산업심리학 전공자로서의 전문가적 자질을 습득한다.

12200092 경력개발과관리 (Career Development & Management)

  직업이나 직장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입사 후 퇴직하기까지 개인이 경력을 계획하고 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경력개발 이론들과 경력개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운영방법에 대한 직업심리학적 이해를 높인다.

12200303 행동경제학 (Behavior economics)

  제한된 합리성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과목이다.

12200305 디지털마케팅 (Digital marketing)

  디지털 기기와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혹은 가상마케팅 전략 사례를 다양하게 살펴본다.

12200308 직업건강및웰빙 (Vocational Health and Wellbeing)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감소 및 웰빙 증진을 위해 다양한 관련 연구들을 리뷰하고진단을 위한 변수 및 방법 등에 대해서 학습하고학기말에 제안서를 제출한다.

12200309 산업심리주요문제 (IssuesonIndustrial&OrganizationalPsychology)

  산업 및 조직심리학 관련 최근 이슈와 연구들을 리뷰하며수강생들의 발표와 연구 아이디어 도출을 평가한다.

12200075 상담이론및실제 (Theories & Practices Of Counseling)

  신분석인간 중심합리적-정서행동 수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상담의 기초 이론들 및 기법들에 대해서 학습한다개인상담 및 집단 상담 실습을 통해서 상담 기법들을 익힌다.

12200078 고급상담심리학 (Advanced Counseling Psychology)

  내담자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가로서의 역량과 기술을 다룬다.

12200371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소규모 구성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다양한 문제와 도전에 대해 논의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집단상담의 원리와 기법들을 다룬다.

12200367 가족상담과코칭 (Family Counseling & Coaching)

  가족의 의미와 기능 및 가정과 일과의 조화와 갈등의 문제를 이해하고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가족상담 및 치료기법을 다룬다.

12200369 코칭상담이론 (Coaching Counseling Theory)

  주요한 코칭 상담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코칭상담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연습한다.

12200311 상담실습 (Practice of Counseling)

  상담 과정과 상담 계획상담 기법상담 진행사례적용 훈련을 통해 상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상담 역량을 훈련한다.

12200312 상담윤리 (Ethics of Counseling)

  상담에서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세를 학습한다.

12200313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전생애에 걸친 진로발달 과정과 진로선택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개인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 그리고 진로발달 및 상담 집단 프로그램들을 습득한다.

12200314 성인및노인심리 (Adulthood Psychology)

  성인기와 노년기의 주요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성인기와 노년기의 이론임상연구와 주요주제를 학습한다.

12200315 성격심리 (Psychology of Personality)

  개인의 성격 특징이 어떻게 다르며 이러한 성격 특징들이 어떻게 습득되는지에 관한 성격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12200370 코칭심리검사 (Coaching Psychological Testing)

  표준화 심리검사와 측정도구의 원리 및 목적제작 절차 그리고 사용을 학습하여 검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학습한다.

12200368 건강코칭상담 (Health Coaching Counseling)

  신체적정신적 장애의 심리적 원인과 마음의식스트레스신체활동과 음식 등이 이러한 장애들에 미치는 영향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개입을 학습한다.

12200318 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정신장애의 증상진단기준원인예후치료법을 학습하고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12200319 중독상담 (Addiction Psychology)

  물질 및 행동 중독과 관련한 심리학적 연구를 탐색하고 중독의 발달에 대한 이론적 체계와 중독으로 인해 일어나는 심리학적/사회적 문제를 학습한다.

12200320 심리평가 (Psychological Assessment)

  개인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표준화 심리검사를 비롯한 심리측정 기법들의 원리와 기법사용자로서의 자질 등을 학습한다.

12200328  범죄심리학 (Criminal Psychology)

  범죄 원인그리고 범죄 유형별 특징 등 범죄를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범죄의 발생부터 처벌교정에 이르기까지 형사사법 절차에서 필요로 하는 심리학적인 지식은 물론 경찰 등 형사사법 기관 종사자 및 업무와 관련된 심리학 지식을 학습한다

12200329 사회심리학 (Social Psychology)

  사회적 상황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행위 주체로서 자기, 

사회적 판단과 의사결정고정관념과 편견타인의 영향공격성과 갈등사랑과 친사회적 행동 등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각종 심리적 현상을 학습한다.

12200330  조직문화심리학 (Organizational Culture and Psychology)

  한국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과 조직 문화를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함문화의 개념과 문화심리학의 역사문화적 차이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유형 등 무의식 중에 한국인의 개인적 사고판단행동그리고 조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효과에 대해 학습한다.

12200362 코칭심리학 (Coaching Psychology)

  코칭의 심리학적 토대를 학습하고 이를 실제 코칭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코칭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12200363 감정코칭 (Emotion Coaching)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며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과 원리를 학습한다.

12200364 코칭상담실습 (Practice of Coaching Counseling)

  코칭상담 과정을 학습하고 사례적용 훈련을 통해 상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상담 역량을 훈련한다.

12200365 코칭상담사례연구 (Coaching Counseling Case Study)

  다양한 코칭상담사례를 분석하고 사례지도를 통해 전문적인 코칭상담이 진행될 수 있도록 훈련한다. 

3) 사회복지학과(Department of Social Welfare)

12200264 세미나 (Seminar)

  대학원생들의 개별 관심 연구분야에 대한 이해와 학계의 최신 정보의 공유한다.

12200268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이 과목은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학습함으로써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에 관한 행동과학분야의 여러 이론들에 대한 학습과 함께 가족사회문화 등 사회 환경적 요소들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을 검토한다.


12200269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이 과목은 사회복지의 제반분야에 있어서 과학적인 지식을 수립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사회조사의 이론과 절차를 학습하고이를 근거로 사회조사의 절차에 따라 조사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연습을 한다. 

12200270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이 과목에서는 사회복지 실천대상 가운데 개인집단가족에게 초점을 맞추고이들의 사회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살펴본다구체적으로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가치, 기초 지식사회복지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면접사회복지 실천과정실천 대상에 따른 기초적 개입 기술과 기법기록 등을 검토한다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1220027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본 교과목은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심층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따라서 사회복실천과 관련된 주요 이론 및 방법들이 소개되며사회복지사의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살펴본다.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주요 체계들과 관련된 이론실천지식 및 가치에 대한 심도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다아울러 한국적 현실을 고려한 사회복지실천의 모형과 체계화를 시도하는 다양한 이론적 작업들에 대해 논의해 본다.

12200272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ork & Welfare)

  현대의 각종 지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진단하고해결하는 전문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역량을 배양하는데 강의의 목적을 둔다본 과목에서는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제 개념들을 살펴보고지역사회복지 증진에 있어서 사회사업가의 역할들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모델들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12200273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본 과목은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그리하여 사회복지정책연구의 세 가지 분야인 정책형성과정정책의 내용정책의 효과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12200274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이 과목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발달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하여 요한 유형 및 무형의 서비스를 전달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사회복지조직체계의 요원으로서 조직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200277 여성복지론 (Social Service for Women)

  본 교과목은 후기산업사회에서 나날이 그 관심이 증대해 가고 있는 여성문제에 대한 사회 복지적 접근을 다룬다즉 여성문제에 대응하여 전문적인 사회복지정책이나 사회복지실천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실제적인 여성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12200279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

  이 교과목은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한다이를 위하여 아동복지의 개념과 치에 대한 이해아동복지의 역사정책과 제도실천대상과 관련 서비스실천방법과 기술 등의 이해를 도모한다.

12200280 장애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본 과목은 장애인 개인의 심리적신체적 특성과 적응이론 및 장애인을 둘러싼 체계 즉 가족, 지역사회와의 사회적심리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각 차원에서의 사회 복지적 개입방법들을 이해한다이에 더하여 거시적인 정책수단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12200281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산업화된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사회복지제도인 사회보장제도의 기본개념과 의의 및 본질을 고찰하고우리나라와 복지선진국의 실제 경험과 현황 그리고 문제점과 전망 등을 이슈중심으로 학습연구한다.

12200282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된 사회적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고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사회문제들을 추출 분석하여 구체적 사회문제분석에 대한 연구과제수행을 실습한다.

12200285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함과 동시에 타 전공과목과의 연계를 이해시킨다사회복지의 개념가치와 이념,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방법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실천방법론과 정책과 제도 그리고 실천의 주요 분야를 공부한 후 마지막으로 사회복지학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복지제도의 실천적 전망을 살펴본다.

12200286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ial Welfare Legislation & Practice)

  본 과목은 법제화되어 있는 사회복지제도와 서비스들에 대해서 법적인 이념과 구성 원리를 파악케 하여 사회복지법의 제반 문제를 검토하고발전방향에 대한 안목을 갖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일차적으로 총론적 차원에서 사회복지법의 체계적 분석방법과 복지권에 대해 고찰하며다음으로 주요한 사회복지 개별 법률들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법적 전망을 갖게 한다.

12200287 공공부조론 (International Perspectives of Social Assistance)

  본 교과목은 공공부조 정책의 세계적 추이를 분석하여 한국의 공공부조정책의 발전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12200288 사회보험론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Social Insurance)

  본 강좌에서는 복지선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보험제도의 동향을 분석하여 한국의 사회보험제도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강좌의 주요 내용은 공적연금제도와 사적 연금제도의 비교분석공적 사회보험제도의 위기 내용연금기금의 활용방안 등과 관련된 최근 복지선진국에서의 개혁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12200289 부부 및 가족치료 (Marital & Family Therapy)

  다양한 가족치료 모델 및 이론을 소개하고가족 치료의 과정 및 다양한 치료 기법 및 지침 등을 학습한다특히사례연구와 역할극을 통해 가족치료 모델을 실제로 적용평가하는 연습을 한다.

12200291 빈곤정책론 (Theory on Poverty Policy)

  본 세미나는 사회복지분야의 전통적 주제이면서도 최근 한국 사회의 주요 사회문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빈곤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본 세미나의 진행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빈곤 문제에 대해 본 세미나에서 선정된 테스트를 같이 읽고 내용 확인 및 토론의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선정된 텍스트의 주요 내용은 빈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부터 빈곤 문제와 관련된 최근 주제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순서는 빈곤 문제에 대해서 수강생들이 준비한 주제 발제이다빈곤 관련 주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논문 형식으로 발제문을 작성하여 발표 한 후 토론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12200292 비영리조직과사회복지 (Non Profit Organization & Social Welfare)

  본 세미나는 전통적인 국가 복지의 대안 혹은 보완으로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민간복지의 성격과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민간 복지의 핵심인 사회복지 비영리 조직(non-profit sector in social welfare)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개념 정의 및 등장 배경그리고 역할, 효과 등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이를 통해 복지 국가의 현재 및 바람직한 미래의 모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2200293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수강생들로 하여금 기초적인 통계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컴퓨터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양적자료를 실제로 분석해보게 함으로써 통계적 자료 분석의 방법 및 절차를 익히게 한다.

12200294 사회복지윤리와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본 교과목은 사회복지실무현장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전문직으로서 지녀야 할 윤리와 배경철학을 학습함으로써 사회복지의 올바른 실천윤리를 함양하고나아가 사회복지학 및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적 토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12200295 한국사회복지론 (Theory of Social Welfare in Korea)

  1960년 초 우리나라에서는 다수의 공적인 사회복지제도들이 도입된다그 이후 최근까지 국사회복지는 과거와 비교하여 많이 성장하였다본 과목에서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의 전과정과 특성을 살펴본다그리고 한국사회복지의 발전과 유형을 분석하는 이론들을 소개한다.

12200296 한국사회보장의역사 (Social Security History in Korea)

  한국의 사회복지는 사회보험사회복지서비스공공부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영역들에는 서구복지국가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사회보장제도들이 있다그러나 한국에서 사회보장제도의 도입배경은 서구와는 다르다서구사회보장제도의 도입 배경이 산업화와 민주주의의 발전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에 한국사회보장제도의 도입 배경은 권위적인 정권의 등장과 관료와 연관되어 있다이런 배경의 차이는 제도 내용의 차이로 나타난다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서구복지국가와는 다른 한국만의 특수성이 다루어질 것이다또한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회보장제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볼 것이다.

12200297 인권과 사회복지 (Human Rights & Social Welfare)

  본 교과목은 인권에 대한 기본적 이해인권과 사회복지의 관련성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권 관점의 적용 등 인권과 사회복지를 총괄적으로 다루고현장에서 빈번하게 맞닥뜨릴 수 있는 사회복지 영역별로 국내·외 인권 관련 규정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인권침해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권 기반 사회복지 개입 및 실천을 적용하는 방법 등을 익힐 것이다.

12200298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ork Practicum)

  강의를 통해 습득한 사회복지실천의 방법에 관한 이론과 지식을 기초로 하여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습을 경험케 하여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기초를 닦고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스스로 검토평가해 보도록 한다.

12200299 학교사회복지론 (School Social Welfare)

  이 교과목을 통해 우리나라의 학교교육과 학교현장학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적인 가치실천기술이론과 모델들을 습득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인 실천능력을 배양한다학생들이 이 교과목을 습함으로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인지하고 습득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사로서의 준비를 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아울러 현재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의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해보며 학교사회복지의 제도적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해 본다.

12200300 의료사회복지론 (Social Welfare of Health care)

  기관이나 시설에 상관없이 사회복지사들은 정신건강문제를 안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의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본 과목은 정신질환의 원인론진단론치료방법론및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방법론에 대한 총괄적인 개관을 사회복지학적 입장에서 제시한다본 교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공부하게 된다. (1)정신보건사회복지의 정의위상및 역사, (2)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윤리, (3)정신질환의 심리학적사회학적생물학적 원인론 및 결과론, (4)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 (5)기타 정신질환의 진단치료및 재활관련 주제

12200301 사회복지역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이 과목은 중세 사회부터 현대 자본주의 시기까지 사회복지제도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에 대한 발달사적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구체적으로 중세사회의 구빈법사회보험의 태동복지국가의 형성 및 변천과정을 다룬다.

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를 근대이전의 사회복지와 근대이후의 사회복지로 구분하여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에 대한 역사적인 관점에서의 이해를 증진시키려 한다.

12200302 정신건강사회복지론 (Social Welfare in Mental Health)

  본 교과에서는 정신보건법 실시 이후 우리사회에 정착되기 시작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이해와 정신장애의 예방치료재활과 정신질환자 인권보호 및 인식개선 등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다양한 이론과 개입방법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12200321 가족복지론 (Family Welfare)

  현대사회에서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가족구조가족관계, 가족의 기능가족의 생활주기가족문제 등에 관해 학습하고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등에 관해 고찰한다또한 가족복지 서비스의 대상가족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치료적 접근 등을 학습한다.

12200322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현대 자본주의사회는 복지국가를 하나의 이념으로 삼고있다본 교과에서는 복지국가 이념에 대한 국내외에서의 다양한 시각을 비판적으로 비교 검토한다.

12200323 노인복지론 (Welfare for the Aged)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틀 속에서 노화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천한다본 과목은 노인복지 활동에 필요한 개괄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적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의 변화와 노인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노인복지 정책 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12200324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Welfare)

  국인 근로자의 유입과 장기 체류국제결혼 이주여성 등으로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원화현상이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한국의 다문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실에 대하여 파악진단하고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한국사회의 다문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실천기술을 살펴본다.

12200325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추상적인 사회복지정책을 구체적인 서비스로 전환하는 매개물이다따라서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면 정책이나 서비스가 불완전하거나 비효율적이된다이에 본 교과목은 사회복지사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기획운영평가 등과 관련된 내용으로 교과목을 구성한다이를 통해 사회복지 로그램을 효화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하며 평가하는 문제를 다루어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보다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모델의 맥락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파악하여적절한 개입으로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기본적인 목표를 둔다나아가서 그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그에 대해 평가하느 능력까지도 배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12200326 한국사회복지의쟁점 (Issues in Korean Social Welfare)

 국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분야에서 쟁점이 되는 여러 가지 사항을 학습하고 이해한다예를 들어 지역사회통합돌봄법노인 및 아동돌봄체계 개편 등 사회서비스 관련 최신 이슈와 정책 변화 등 한국 사회에서 사회복지와 관련되어 쟁점이 되는 사항을 학습한다.

12200331 청소년복지론 (Youth Welfare and Services)

 청소년들의 비행의 원인과 문제의 실태를 분석하고청소년 활동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청소년복지의 각종 법률과 정책 및 실천을 교수한다.

4) 국제개발협력학과(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2200001 세미나 (Seminar)

  논문 작성에 필요한 주제 선정자료 수집결과 분석 등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전공 및 관심있는 연구 분야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여 발표하도록 하고이를 통해 발표 능력을 배양하고 토론 기술 및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도록 교육한다.

12200337 양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바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경험적 현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이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데이터 수집표본 추출데이터 시각화 및 해석에 초점을 맞추며통계적 추론 방법도 소개합니다이는 주어진 표본을 기반으로 모집단에 대해 주장을 하는 기술입니다더불어학생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과 이러한 결정의 근거로 활용되는 추론을 타인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법도 함께 배우게 됩니다.

12200338 개발과 환경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경제 발전의 근본적인 측면 중 하나는 발전이 지역 및 글로벌 환경에 미치는 영향입니다이 수업에서는 국내와 국제적 차원에서 이러한 상호 관계를 탐구 합니다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맥락에서 발전과 환경 사이의 이론적경험적 성격을 고려하는 새로운 국제적 담론을 다룰 것입니다학생들은 개발 정책의 형성 과정에서 자연을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이해하며이러한 접근 방식이 사회적정치적경제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게 됩니다.

12200339 글로벌 져스티스 (Global Justice)

  이 강의에서는 글로벌 져스티스와 관련된 이슈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론을 학습한다배정의기후정의지구적 불평등빈곤인권 등의 문제와 개념을 이해하고글로벌져스티스를 주장하는 이론과 비판하는 이론을 학습한다.

12200340 글로벌 시티즌십 (Global Citizenship)

  이 강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다룬다시민이란 무엇인가글로벌 시민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글로벌 시민의 권리와 의무는 무엇인가글로벌 시민이 가져야 하는 문제의식과 덕성은 무엇인가?

12200012 국제관계의 이해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이 과목은 수강생들의 국제정치 이론을 통해 국제관계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본 과목은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주요 이론들을 발표와 토론 형식으로 학습하며, 현실 국제관계의 현상에 대해 적용하여 분석하는 훈련을 하고자 한다.

12200341 지역연구의 이해 (Understanding of Area Studies)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가들과의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수여국의 지속가능한 사회경제발전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 과목은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대상 지역인 개발도상국이라는 지역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12200342 동남아시아의 이해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이 과목은 국제개발협력의 핵심 지역인 동남아시아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수강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동남아시아 개별 국가의 현황과 더불어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동남아시아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넗힐 수 있을 것이다.

12200343 동남아시아 거버넌스와 국제개발협력 (Southeast Asian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국제개발협력의 핵심 대상지역으로서 동남아시아의 독특한 거버넌스를 이해하는 것은 국제개발원조의 공여국과 수여국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이 과목은 동남아시아가 하나의 통합된 지역으로서 어떠한 의사결정구조거버넌스를 특징으로 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200344 국제개발협력과 권위주의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nder Authoritarianism)

  국제개발협력 대상국의 대부분은 권위주의 통치체제에 놓여있다이 국가들의 정치체제는 발협력의 효과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 강의는 권위주의체제의 생성유지발전 및 붕괴와 관련된 작동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춰 권위주의체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 증진 방안을 모색한다.

12200345 산업화와 민주화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한국은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양대 과제를 최소한의 시간적 편차와 정치적 비용으로 성취한 사례이다모든 후발국들이 이 두 가지 목표를 빠른 시간 내에 동시에 이루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힘든 과제이다이 강의는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이른바 서구적 발전모델과 아시아적 가치를 조화롭게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12200346 국제개발협력의 이해(Understa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이 강의는 국제개발협력 전개과정과 역사규범 및 지원 사업과 최근의 국제개발협력 동향과 추세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국가별·분야별 지원전략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의 기초적인 이론과 지식 등을 학습하게 될 것이다나아가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를 넘어 관련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2200347 국제개발협력과국제정치(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Politics)

  이 강의는 국제정치 사상이론역사 등의 관점에서 국제개발협력이 가지는 의미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국제개발협력을 더욱 심도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최근 공여국 이에서 국익추구 차원에서 국제개발협력을 늘여가는 이유와 함께공여국별 지원 동기와 이유가 다른 점에 대한 답을 찾고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진단하는 강의가 될 것이다.

12200348 이슈로 알아보는 국제개발협력 이야기 (Issu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국제개발협력은 공공외교세계시민교육보건젠더농업, SDGs, ESG, Green ODA 등 외교·경제·사회·문화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이슈 영역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강의는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지원 방식과 최근 동향과 추세를 학습하고앞으로 전개될 이슈별 국제개발협력 방향과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과제를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200349 국제개발협력과 글로벌 거버넌스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Global Governace)

  국제개발협력 전개방식은 국제적지역적 그리고 국가별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원조국과 수원국 사이에서 이뤄지던 전통적 방식 이외에 남남협력삼각협력다자성 양자원조, 민간원조민관협력 등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가 공존한다이 강의는 국제개발협력 글로벌 거버넌스 관련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고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방식과 보완점 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200350  개발협력 프로젝트 사이클 매니지먼트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Cycle Management)

  개발협력 PCM 및 PDM 등 프로젝트 사이클 매니지먼트 관련 협력국 현지수요기반 사업형에서부터 실행과 평가에 이르는 개발협력 프로젝트 사이클 혁신방안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12200351 개발협력 기획평가와 모니터링 (Development Cooperation Plan, Evaluation, Monitoring)

  개발협력 프로젝트 기획-실행-평가-모니터링-피드백 전략론프로그램-프로젝트 기획론과 변화이론평가기획론평가수행 방법론 등 사업기획평가 및 모니터링 관련 데이터수집 기반 조사·분석·평가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12200352 개발은행과 국제기구 프로젝트 분석 (MDB, Int’l Org. Project Analysis)

  아시아개발은행아프리카개발은행중남미개발은행 등 다자개발은행 및 국제기구(UNDP, UNEP, UNFRA, UNHCR, UNIDO, UNOPS, WFP, WHO), GCF, GGGI, 아세안사무국협력기금 기반 개발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목표로 한다.

12200353 과학기술, ICT, 산업에너지보건·수의·축산 개발협력 (S&T, ICT, Industry, Energy,

 Health, Veterinary Medicine Dev. Coop.)

  과학ICT, 산업기술신재생에너지보건의료수의학축산학 기반 17개 SDGs 연계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도출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분야별 개발협력 전략 도출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목표로 지속가능사회 혁신안을 학습을 목표로 한다.

12200354ESG 개발협력과 민관협력 (ESG Development Cooperation and PPP)

  환경-사회-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탄소중립, SDGs 분야별 개발협력 정책-기술사업발굴-재정연계-역량강화-플랫폼구축과 운영에 대한 ODA수행주체의 다양화 관련 민관협력 개발협력 사례를 기반으로 정책과 전략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12200355 아프리카· 중남미 개발협력 전략론 (Africa and Latin America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ies)

  아프리카 지역별(전역북아프리카중서 및 동남아프리카및 중남미 미래역량 개발협력 기반 직업기술교육청소년 보건의료 취약계층 포용적 교육지속가능한 농업생산성 증대 및 시장성 강화 등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 개발협력 사례와 혁신방안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12200356  트윈전환과 기후변화 개발협력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Climate Change Dev. Coop.)

  트윈전환 시대 기후위기에 따른 기후변화 대응 정책-전략-사업발굴에 있어 디지털전환그린전환 전략을 활용하고 녹색에너지전환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개발협력 정책-기술지원 등 기후변화 개발협력 사례에 대한 ODA 중점협력국 대상 다양한 사례와 솔루션을 학습하고자 한다.

12200357 농업·해양수산·문화·스포츠·지식재산 개발협력 (Agriculture, Oceans & Fishery, Culture, Sports, IP Dev. Coop.)

  농림축산 개발협력해양수산 개발협력문화·스포츠 개발협력지식재산 개발협력 등 개발협력분야의 다양한 부문에 대한 ODA 정책-전략-사업발굴재정연계-역량강화 등에 대한 사례 중심의 개발협력 추진 Best Practice를 학습하고자 한다.

5) 사법행정학과(Department of Judical Administrations)

12200127 헌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onstitutional Law)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함을 목적으로 하는 본 강의는헌법의 기초일반 이론과 우리나라 헌법의 역사와 기본원리 등 현행 헌법의 총론을 고찰하고 기본권이론 및 국가의 통치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부형태에 따라 제도적 차이를 보이는 통치구조이론을 연구한다.

12200128 민사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ivil Law)

  법 이론의 기초를 형성하는 민법을 중심으로 하여민법총칙의 일반이론과 민사 제 원칙을 설명하고판덱텐체계에 따른 물권채권편을 세부적으로 고찰한다뿐만 아니라 민법을 구성하는 또 다른 축인 친족상속법에 대한 고유한 원리 및 이론을 학습하며그 외에 민사특별법에 대해서도 주요 문제점들을 검토한다.

12200129 형사법특강 (Selected Topics on Criminal Law)

  형법의 구성부분인 범죄와 그 법적 효과에 대한 이해와 형법의 제반 기본원리 및 범죄의요건으로서의 구성 요건론위법성론책임론 및 공범론미수론형벌론의 이해를 위한 강의와 각종의 구체적 범죄유형인 개별적 구성요건을 분석하고 이해한다그 외에 형사정책및 교정학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12200130 행정법특강 (Selected Topics on Administrative)

  공익과 사익의 조절에 관한 행정법의 내용중 중요한 쟁점에 대해 기본적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행정의 조직과 작용 및 주제와 관련한 내용에 대해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12200132 법사회학특강 (Selected Topics on Sociology of Law)

  사회적 실재로서의 법과 사회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이론을 기관하면서 한국사회의 법현실을 이론과 대비하여 심도있게 고찰한다.

12200133 특별사법연구(Study on Special Civil Law)

  민사일반이론의 학습을 기초로 하여 민사법해석론에 있어서 중요한 판례를 법사회학적인 방법론에 입각하여 분석 비판하는 판례연구와 대륙법체계하의 민법해석론을 영미법계와 비교 연구하는 비교법연구를 수행한다.

12200134 민사절차법연구 (Study on Civil Procedure Law)

  민사실체법에 기초하여 민사소송법의 기본구조를 파악하고이상적인 민사재판 절차를 위한 해석론을 정립하며강제집행법 전반에 걸쳐 비교법학적 관점에서 적절한 해석론을 시도하고 바람직한 강제집행절차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12200135 사회법특강 (Selected Topics on Social Law)

  사회법의 포괄적 범주에 포함되는 노동관계법사회보장법경제법사회복지법의 전반적인 이론과 법체계를 논의하고사회법 전반에 걸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주요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12200136 회사법판례연구 (Case Study on Corporation Law)

  회사기업에 관한 기본판례를 분석하고판례에 따른 실거래계의 상관행 형성 실태를 이해한다. 아울러 우리 판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해서 연구한다.

12200137 기업법특강 (Selected Topics on Business Law)

  회사 기업에 관한 법제도에 관해 거래계의 변화와 외국입법의 동향을 일반적으로 검토하고기업현실에 비추어 법제도적 보완이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법 이론을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연구한다.

12200138 토지공법론 (Theory of Public Land Law)

  토지와 관련된 여러 법적 문제 중 행정 규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공법적영역의 문제로 다루는 여러 법제도에 관해 이해를 증진하며우리 법 현실에서 성행하는 토지의 공법적 규제의 다양한 법유형을 검토하며이러한 토지의공법적규제의 이론적 타당성과 헌법 및 민사기본질서와의 조화를 모색한다.

12200139 형사절차법연구 (Study o12200139 n Criminal Procedure Law)

  형사절차법상의 일반원칙과 아울러 형사소송의 구체적인 절차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며형사소송에 있어서 사실인정의 기초가 되는 증거방법증거능력증명력등에 대한 증거법적인 원리에 관해 입법례와 판례를 연구 검토한다.

12200140 금융법연구 (Study on Financial Law)

  전통적 금융거래외에 선진 금융 기법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도입되는 상황에서 금융제도 특히 자본시장 통합관련 법제 등 새로운 법의 제정 동향을 살펴보고수신 여신 간접투자자산운용자산유동화 등 금융거래법의 법리를 연구한다.

12200141 도산법연구 (Study on Bankrupty Law)

  도산법이란 채무초과 즉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채무자의 처리에 관한법으로 채무초과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되어 회복될 가망성이 없는 경우채무자의 전재산을 환가하여 총채권자에게 공평하게 분배하는 대신 채무자가 기업일 경우에는 소멸시키고개인일 경우에는 공민권 등의 제한을 가하는 파산절차와 경제사정의급변 등으로 일시적인 파산 상태에 빠진 경우에 채무의 일부면제기한유예 등의방법으로 채권의 행사를 제한하여 파산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게 한 다음 채무자로 하여금 경제활동을 계속하여 상당기간에 걸쳐 빚을 분할상환하게 하는 회생절차로 이루어져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IMF사태와 함께 수많은 기업과 개인이 도산하면서 이 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된 지금에도 기업이나 개인의 부침은항상 있기 마련이어서 경제적으로 파탄 상태에 이른 자를 사회에서 도태시키는 것이 아니고 사회복귀를 도와주는 이 제도의 이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특히 신용카드의 남용 등에 따른 신용불량자들에게는 이 제도는 구세주와 같은 것이어서 2007년 5월 기준으로 개인파산 또는 개인채무자회생절차를 이용한 사람이 10만여 명에 이를 정도이다이에 이법을 공부함으로서 이 많은 사회적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고직장에서든 자신의 사업현장에서의 업무수행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2200142 개별행정법연구 (Study on Special Administrative Law)

  개별행정 작용법의 일반법리를 고찰하고이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방식을 고찰하면서사회문제들이 행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행정은 어떻게그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을 하는지 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12200143 부동산법연구 (Study on Real Estate Law)

  부동산권리변동을 중심으로 공시제도인 부동산등기에 관하여 살펴보고부동산에 관한 소유와 점유의 법률관계의 내용을 검토한다.

12200144 지적재산법연구 (Study on Intellectual Property Law)

  지적재산권제도의 의의 및 기본적 법률체계를 살펴 보고지적재산권의 보호대상과 권리를 부여 받기 위한 실체요건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또한 출원에서 등록까지의 제반절차의 흐름과 출원절차 및 심사절차상의 제반원칙 및 지적재산권의 침해 및 그 구제절차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지적재산권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2200145 인권법연구 (Study on Human Right Law)

  인권법의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하여 인권법의 법원시민적.정치적 권리경제적사회적 권리문화적 상대주의 및 인권의 보편주의국제인권기구인권관련 유엔제도지역체제 내에서의 인권제도인권관련 비정부기구국가내부에서의 인권보호제도국가간 인권 제도의실행국제인권법의 동향 및 발전 등을 학습한다.

12200146 소비사회와 법 (Study on Consumer Society and Law)

  소비자의 기본적 권리 및 역할소비자의 기본적 권리실현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소비자보호를 위한 사업자의 의무소비자단체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한국소비자 보호원에 관한 해석과 이론 및 판례에 관하여 연구한다.

12200147 생명의료법연구 (Study on Biomedical Law)

  다양한 생명윤리의 문제에 대한 윤리적ᆞ법적ᆞ 사회적 쟁점을 파악하고의료과오 소송의 민사책임문제의료분쟁에서 제기되는 형사법적 문제 등을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