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상 | 역 량 | 의 미 |
---|---|---|
전문성과 인성을 바탕으로
|
자기주도 |
· 변화하는 교수-학습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
교수-학습 |
· 학생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
디지털 |
· 생성형 AI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을 계획하고 주도할 수 있는 능력
|
|
창의·융합 |
·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
|
의사소통 |
· 학습자를 이해하고 학습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
|
|
공동체 |
· 공동체의 발전이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공동체 지향의 태도와 능력
|
영역 | 추진과제 | 세부 추진 과제 | 전략 |
---|---|---|---|
교원전문성 강화 |
다역량 교원 양성 |
·2022 개정 교육과정 대응 지정 및 신규 과목 개설 |
교육과정 개선 |
·복수 전공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
교육과정 개선 |
||
현장 교사 참여 확대 |
·현장 교사 참여 동아리 확대 |
비교과 프로그램 |
|
·현장 교사 - 예비교사 멘토링 실시 |
비교과 프로그램 |
||
학생 수업역량 강화 |
·모의수업 경연대회 활성화 |
비교과 프로그램 |
|
·수업 시연 교과목 확대 |
교육과정 개선 |
||
지도 교수 역량 강화 |
·교원 교수법 소모임 활성화 |
교원 역량 강화 |
|
·디지털 전환 교육 특강 |
교원 역량 강화 |
||
미래교육 선도 |
디지털 소양 교과목 운영 |
·디지털 활용 교직과목 개설 |
교육과정 개선 |
·디지털 관련 교양 교과목 필수 수강 확대 |
제도 개선 |
||
미래 교육 자격 인증제 운영 |
·미래 교육 관련 교과목, 비교과 활동 선정 |
제도 개선 |
|
·교과목, 비교과 이수 실적에 따른 인증서 발급 |
제도 개선 |
||
미래 교육 비교과 활성화 |
·융합 탐구·PBL 경진대회 실시 |
비교과 프로그램 |
|
·예비교사 미래 교육 워크숍 개최 |
비교과 프로그램 |
||
디지털 환경 구축 |
·디지털 교육 강의실 구축 |
인프라 구축 |
|
·디지털 교육 기자재·전자칠판 구축 |
인프라 구축 |
||
학습자 이해 |
인성 교육 강화 |
·사범대 전용 ‘GNU-E’인성 교과목 운영 |
교육과정 개선 |
·학생 인권 및 교권 교육 |
비교과 프로그램 |
||
현장 실무 교육 강화 |
·학과별 현장 교사 실무 교육 |
비교과 프로그램 |
|
·학과별 현장 교사 학생 생활 지도 교육 |
비교과 프로그램 |
||
교육 봉사 확대 |
·교육봉사 동아리 운영 |
비교과 프로그램 |
|
·학과별 학교 연계 교육봉사 프로그램 |
비교과 프로그램 |
||
지역사회 연계 강화 |
·지자체, 산업체 연계 지역사회 교육 혁신 지원 |
제도 개선 |
|
·교육청, 학교 연계 강화 |
제도 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