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개설학기) | 교과목 개요 |
---|---|
AI 프로그래밍
(1학기) |
산업체 및 기업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인 C++를 익히고 학습한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컴퓨터프로그래밍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에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급 프로그래밍인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프로그래밍을 더 배우기 쉽게 하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보수를 간편하게 하며, 직관적인 코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
계측공학
(1학기) |
계측공학은 전기, 자기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기술, 측정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측정기의 원리와 구조를 배우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단위와 표준기, 측정데이터와 통계처리,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의 회로, 연산증폭기, 디지털회로, 직류 및 교류 지시계기, 직류 및 교류 브리지회로, 아날로그 전자계측기, 디지털 계측기, 등을 다룬다. 학생들은 미소전압으로 출력되는 온도센서, 힘센서 등의 출력을 검출할 수 있는 브리지회로, 층폭기, 연산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저장장치, 출력장치(LCD, LED) 등이 포함되는 계측기의 회로를 설계하여 발표하고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디지털 회로설계
(2학기) |
컴퓨터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자공학 및 디지털논리회로의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선행된 과목에서 배운 이론내용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동작을 확인하여 디지털회로의 소자 사용법을 습득하고, 제안한 디지털시스템의 설계, 제작 및 실험함으로써 디지털회로의 설계 및 실험능력을 배양한다. |
마이크로 프로세서 공학
(1학기)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구조와 개념을 이해하고 미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의 설계와 응용에 대해서 공부한다.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구조, ALU구조, 어드레싱기법, 디코딩회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다룬다. Intel 8051 실습장치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실습을 수행한다. |
로봇공학
(2학기) |
로보틱스분야의 입문으로서 주로 로봇 기구부의 수학적 모델링, 기구부의 동역학과 로봇제어를 다룬다. |
유공압제어
(2학기) |
유체거동을 지배하는 물리·화학 기초원리 및 유공압 제어시스템 요소(유압펌프, 유압 실린더와 모터, 유압밸브, 공기 압축기, 공압 실린더와 모터, 공압밸브)의 구조과 작동원리를 이해한 후, 이러한 시스템 요소들을 이용하여 유공압 제어회로를 설계·해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나아가 공장 내 각종 생산 공정의 간이자동화를 위해, 릴레이·타이머 등의 기본 전기소자와 PLC를 이용하여 기 설계한 유공압 시스템(회로)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순차제어용 전기제어회로 설계방법을 다룬다. |
전자회로 실험
(1학기) |
본 강좌는 전자회로 I, II에서 배운 이론을 실무 경험을 배양하기위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다이오드회로와 BJT 증폭기, FET 증폭기, OP 증폭기, 그리고 궤환회로를 실험한다. 회로를 꾸미고 이론을 바탕으로 회로의 디버깅 능력을 키운다. |
제어공학 1 & 2
(1학기/2학기) |
본 강좌는 제어계측공학과 학생들이 제어공학에 대한 심후한 전공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두 학기로 나누어 진행한다.
|
전력전자
(2학기) |
본 강좌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력제어의 강의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Diode, Transistor 및 SCR을 이용한 정류에 대하여 다루며, 그 후 이들을 이용한 Motor 제어에 관하여 강의한다. |
딥러닝알고리즘설계
(2학기) |
다양한 딥러닝 알고리즘의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딥러닝 프레임워크(TensorFlow, Keras, Pytorch)를 이용한 설계 실습을 통해 딥러닝 알고리즘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
신호및시스템
(2학기) |
공학수학과 전기회로 이론을 이수한 학생들이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와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이론 지식을 습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