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NU Today

대한민국대표하는 경남의 국가거점국립대학

GNU PEOPLE

최명룡 교수, 금속 카바이드 합성하는 새로운 친환경 공정 개발

  • 부서명대외협력과
  • 등록일 2024.01.10
  • 조회수 273

최명룡 교수팀


최명룡 교수, 금속 카바이드 합성하는 새로운 친환경 공정 개발

▸펄스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이 금속 카바이드 합성

▸물 분해를 위한 고성능 전기화학 촉매로 주목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순기) 화학과 최명룡 교수(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장) 연구팀은 펄스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전이 금속 카바이드(TMCs: Co3C, Fe3C, TiC, MoC)를 합성하는 다용도 공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공정은 추가 탄소원, 계면활성제, 또는 환원제 없이 진행되어,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합성 방법이다.


오예원 석사과정(화학과)과 띠따기리 자야라만, 민아름 연구교수(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가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와일리(Wiley)에서 발행하는 SCI 학술지인 ≪카본에너지(Carbon Energy)≫(IF: 20.50)에 게재됐다. 


이렇게 합성된 TMCs는 금속-탄소 상호작용, 공유 결합 및 금속-금속 상호작용, 그리고 금속과 탄소 원자 간의 전하 이동으로 인해 수소 발생 반응(HER), 산소 발생 반응(OER), 그리고 산소-수소 발생 반응(OWS)에 대한 향상된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였다.


레이저를 이용해 합성한 TMCs로 제작한 코발트 카바이드(Co3C, 2.01V)와 몰리브덴 카바이드(MoC, 1.99V) 수전해 전극은 대표적인 전이 금속 카바이드 전극인 철 카바이드(Fe3C, 2.16V)나 티타늄 카바이드(TiC, 2.54V)를 기반으로 한 전극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간 전기화학 라만 분광법을 통해 전기화학 반응 중 반응 중간체 및 결합 부위의 형성을 밝혔다. 탁월한 전기화학적 내구성 및 구조적 유지는 물 전해조를 위한 안정적인 전기화학 촉매의 개발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 지원으로 수행됐다.


⊙ 사진 설명: 오예원 석사과정, 띠따기리 자야라만 박사, 민아름 연구교수. 최명룡 교수(왼쪽부터).

⊙ 내용 문의: 화학과 최명룡 교수 055-772-1492

  • 소속 : 홍보실
  • 전화번호 : 055-772-0283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가좌캠퍼스 52828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055) 772 - 0114,1114
  • 칠암캠퍼스 [대학본부] 52725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33
    055-772-0114
    [의·간호] 52727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16번길 15
    055-772-8017
  • 통영캠퍼스 53064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해안로 2
    055-772-9099
  • 창원산학캠퍼스 51391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차룡로 48번길 54
    055-250-7300
  • 내동캠퍼스 52849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로 139번길 8
    055-772-0114
라이트
모드
최상단으로 이동